반응형

IT Technology 323

베어메탈 서버(Bare Metal Server)란?

베어메탈 서버(Bare Metal Server)에 대해서 알아보자. 가상 서버와 클라우드 클라우드에서 서버는 주로 가상화 방식으로 구현된 가상머신(Virtual Machine, VM), 즉 가상 서버 형태로 제공된다. 가상화는 하나의 하드웨어를 다양한 용도에 맞게 분할하여 사용하므로 자원 활용의 경제성을 높이고, 클라우드는 이러한 가상화 자원을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하여 유동적 서비스가 가능하게 한다. 가상 서버와 클라우드가 일반화되기 전에는 서버가 필요한 고객들은 실제 물리 서버를 임대 혹은 구입하여 사용하는 서버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하지만 물리 서버를 직접 구매하여 사용하는 것은 초기 투자 비용이 많고, 시간과 공간적 제약, 관리 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가상화와 클라우드는 이와 같은..

IT Technology 2023.04.19

Linux Port listen 확인 방법

Linux Port listen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리눅스에서 port 의 상태는 open, filtered, closed, unfiltered 가 있다. 확인방법 1. Netstat Netstat 는 Linux 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아래와 같이 open 되어있는 모든 port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l 옵션 : netstat에 모든 수신 소켓을 표시 -t 옵션 : 모든 TCP 연결을 표시 -u 옵션 : 모든 UDP 연결을 표시 -p 옵션 : 포트에서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데몬의 이름을 표시 -n 옵션 : 서비스 이름 대신 port 번호를 표시 활용 : netstat -ltup 2. SS ss 명령은 open 된 소켓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IT Technology/Linux 2023.04.13

리눅스 vsftpd.conf 설정 파일 해석

리눅스 vsftpd.conf 설정 파일을 해석해보자 /etc/vsftpd/vsftpd.conf anonymous_enable = yes //익명 ftp 서비스 활성화 여부 설정 local_enable = yes //로컬 계정 사용자 접속 여부 설정 write_enable = yes //쓰기 가능 여부 설정 local_umask = 022 //파일 퍼미션 정의(파일의 퍼미션은 644) dirmessage_enable=yes //디렉토리 이동시 각 디렉토리 메시지 보여지게 할지 여부 anon_upload_enable = yes //익명 FTP 접속자의 파일 업로드 권한 설정 anon_mkdir_write_enable = yes //익명FTP 접속자의 디렉토리 생성 권한 설정 dirmessage_enagle ..

IT Technology/Linux 2023.04.13

FTP 액티브(Active) 패시브(Passive) 차이

FTP 액티브(Active) 패시브(Passive)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FTP 서버를 구축하려고 보면 패시브에 대한 설정과 포트 옵션이 보인다. 그리고 FTP 클라이언트를 사용하려고 보면 역시 패시브 모드라는 것이 있고 체크박스로 체크하게 되어 있다. 그렇다면 FTP 액티브(Active)와 패시브(Passive) 차이는 어떠한지 알아보자. FTP 액티브 모드(Acitve mode) 액티브 모드 설명 클라이언트가 FTP 프로그램으로 서버에 접속한다. [이때 FTP 서버는 기본값인 21 포트 사용.] 클라이언트는 5151번 포트로 데이터를 받는다는 응답을 서버에 보낸다. [이때 FTP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포트는 5150] 서버는 5151번 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고 응답. 클라이언트가 응답하고..

리눅스 서버 디스크 용량 확인 및 정리

리눅스 서버 디스크 용량 확인 및 정리에 대해서 알아보자. 서버를 운영할 때 디스크가 꽉 차지 않게 유지해야 한다. 디스크가 꽉 차게 되면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오동작할 수 있고, 심각하면 로그인이 안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간단하게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 파일을 추적하여 삭제하는 방식으로 진행해 보자. 디스크 용량 확인 Command : sudo df -h 폴더별 용량 확인 Command : sudo du -sh * | sort -hr Log 파일에 디스크를 과다하게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니, log 디렉토리의 log 파일들을 삭제 처리 삭제 후 용량 확보 재확인 참조 https://ondemand.tistory.com/358

IT Technology/Linux 2023.04.07

리눅스 자동완성(TAB) 안될 때 조치 방법

리눅스 자동완성(TAB) 안될 때 조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리눅스 명령어 사용 시에 TAB 키를 눌러 자동완성으로 Command를 사용한다. 그런데 설치한 OS에서 TAB이 안먹는 경우가 가끔 발생되는데 이럴때 는 "bash-completion"를 설치하여 조치하자 Red Hat 8 버전의 테스트 서버에서 명령어를 실행해 보았다. Command Led Hat 8 : dnf -y install bash-completion Centos7 : yum -y install bash-completion 설치 완료되면 TAB 키 정상 사용이 가능하다.

IT Technology/Linux 2023.04.06

리눅스[Linux] 파일시스템 확인방법

리눅스[Linux] 파일시스템 확인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현재 사용 중인 파일시스템의 이름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다음과 같이 3가지 방법으로 확인해 보자. 1. df -TH Type 항목에 파일시스템의 이름이 나온다. 2. mount mount 명령어를 이용해서 현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 있는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3. /etc/fstab 파일 조회 시스템에 마운트 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fstab 파일에서도 파일시스템의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다.

IT Technology/Linux 2023.04.03

리눅스 파일시스템이란?

리눅스 파일시스템이란?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일시스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와 논리적인 단위인"파일"을 연결하는 데이터 테이블이나 인덱스라고 볼 수 있다. OS(운영체제)가 파티션이나 디스크에 데이터를 저장한 뒤 데이터를 찾아 읽고 쓰기 위해 구성하는 체계 즉 OS(운영체제)가 데이터를 찾기 위해 만드는 것 사용자는 운영체제를 설치할 때 포맷 후 고유한 파일시스템을 제공받아 시스템을 구축한다. 파일시스템은 파일의 인덱스뿐만 아니라 파일명의 크기를 제한하거나 확장자 길이, 파티션의 개수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윈도우, 리눅스, 맥OS 등 각 운영체제들이 사용하는 파일시스템은 다르다. 그러나 지원하는 파일시스템의 종류가 다를 뿐 파일을 보관하고 검색하기 위한 기능에는 차이가 없다. 파일시스템의 ..

IT Technology/Linux 2023.03.31

Linux 디렉토리간 마운트&언마운트 방법

Linux 디렉토리간 마운트&언마운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심볼릭 링크랑 맥락은 비슷하다. 두 개의 디렉토리를 연결하여 한 디렉토리에 파일을 넣으면 다른 디렉토리에서도 해당 파일이 나타난다. 작업 시 주의사항 ※ 마운트 설정 및 해제시에는 반드시 root 계정으로 로그인해야 가능 디렉토리간 마운트 설정 기본 명령어 mount -o bind [원본폴더] [마운트 할 폴더] 예시 mount -o bind dir1/ dir2 디렉토리간 마운트 해제 기본 명령어 umount [마운트 할 폴더] or umount -f [마운트 할 폴더] 예시 mount -o bind dir1/ dir2

IT Technology/Linux 2023.03.30

Linux mount란 무엇인가?

Linux mount란 무엇인가? 에 대해서 알아보자. Windows에는 마운트(Mount)라는 개념이 별로 사용되지 않지만, 리눅스에서는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CD/DVD, USB메모리 등을 사용하려면 특정한 위치에 연결을 해 줘야 한다. 이렇게 물리적인 장치를 특정한 위치(대개는 디렉토리)에 연결시켜 주는 과정을 마운트라고 한다. 기차는 서울역에서 정차한다 =디스크를 디렉토리에 마운팅 홍길동은 서울역에서 기차를 탄다 =데이터를 마운트 디렉토리에 저장 기차는 홍길동을 태우고 목적지까지 간다 =실제 물리적으로 디스크에 저장됨 기차는 리눅스 상에 있는 물리적 장치이고, 서울역은 마운트 된 디렉토리, 홍길동은 저장될 데이터라고 보면 된다. test.txt라는 데이터를 /data 아래에 저장하면 실제로 해당 ..

IT Technology/Linux 2023.03.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