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32

Cisco switch interface counters errors

interface counters errors 관련하여 내용 확인하기[show interface counters errors] - Xmit-Err : 인터페이스에서 송신 중 발생한 오류의 수 - OutDiscards : 인터페이스의 송신 queue에서 전송할 수 없는 패킷을 drop한 수. [위의 errors 발생 원인] 1. 급등하는 Burst 트래픽으로 인터페이스에 과부하 발생 시, Buffers와 queue의 한도 초과로 패킷 처리가 불가능 할 때. 2. Burst 트래픽 발생시 연결된 장비의 인터페이스 과부하로 패킷 Drop. 3. 연결된 장비와 Speed & Duplex 불일치. 4. 물리적 문제 (케이블 손상 및 장비 성능 등) [show interface Gi 1/0/8] - Total Ou..

IT Technology/Cisco 2025.01.31

Linux 특정 파일 경로를 찾는 방법

Linux 특정 파일 경로를 찾는 방법 대해서 알아보자  📌 1. find 명령어 (디렉토리 전체에서 파일 검색)📌 특정 파일을 전체 디렉토리에서 찾을 때 사용bash복사편집find / -name "파일명" 2>/dev/null🔹 설명:/ → 루트 디렉토리에서 검색 (전체 시스템 검색)-name → 파일명을 정확히 일치하는 것만 찾음2>/dev/null → 접근 권한이 없는 디렉토리에서 발생하는 오류 메시지를 숨김📌 예제: test.txt 파일 찾기bash복사편집find / -name "test.txt" 2>/dev/null📌 대소문자 구분 없이 검색 (-iname)bash복사편집find / -iname "test.txt" 2>/dev/null📌 파일 크기, 수정 시간 기준으로 찾기최근 3일 ..

IT Technology/Linux 2025.01.24

Windows RDP Port 변경

Windows RDP Port 변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원격 데스크톱 기본 접속 포트는 3389이며 보안 강화를 위해 변경하시길 권장한다.포트를 변경하기 이전에 기존에 설정되어 있는 방화벽 설정에 변경할 포트를 미리 허용하셔야 추후에 다시 접근이 가능하다 변경 전 OS 방화벽설정 및 카페 24 방화벽 설정 값을 체크 후 변경 바랍니다.원격 데스크톱 포트 설정하기가상서버에 접속하여 실행(윈도우키 + R) - regedit  입력 후에 아래 경로를 참고하여 원하시는 포트로 변경합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Terminal ServerwdsrdpwdTdstcp -> PortNumber 기본값 3389 (10진수)에서 -> 변경하고 싶은 포트로 변..

Cisco Switch interface error 설명

Cisco Switch interface error에 대해서 알아보자 Cisco Switch에서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에러 카운트를 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사용한다.​ 명령어  : show interfaces counters errorPort / Align-Err / FCS-Err / Xmit-Err / Rcv-Err / UnderSize / OutDiscards Te2/1 0 0 0 0 0 0 Te2/2 0 0 0 0 0 0 Te2/3 0 0 0 0 0 0 Te2/4 0 0 0 25 0 0 Te3/1 0 0 0 0 0 0 Te3/2 0 0 0 0 0 0 Te3/3 0 0 0 0 0 0 Te3/4 0 0 0 656 0 0 위에서 보면 Te3/4에서 Rcv-Err가 많이 올라옴을 알 수 있다. ..

IT Technology/Cloud 2024.09.09

Linux Fuser 개념 및 옵션

Linux Fuser 개념 및 옵션에 대해서 알아보자. Fuser이란? Fuser 명령어는 특정 파일을 삭제하거나 특정 파일의 사용자, 특정 파일을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알고자 할 때 사용한다.지정된 파일이 사용되고 있는 프로세스 ID를 확인하는 명령어로 지정된 파일과 PID를 KILL 또는 Restart 할 수 있다.  Fuser 옵션 Fuser 사용 명령어 프로세스 ID 소유자 확인 fuser -u [target]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를 모두 종료fuser -k [target]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사용하는 프로세스의 USER / PID 접근 권한 등을 자세히 확인fuser -v [target]          출처https://onecoin-life.com/64

IT Technology/Linux 2024.09.03

stateful과 stateless 차이

stateful과 stateless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Stateful (상태유지)클라이언트-서버 관계에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존함을 의미한다. 클라이언트의 이전 요청이 서버에 잘 전달되었을 때, 클라이언트의 다음 요청이 이전 요청과 관계가 이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태에 대해 저장해야 하기 때문에 백업 스토리지가 요구된다.상태 저장에 대한 요청은 서버 측 상태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예) TCP통신의 경우 server와 client는 1. establishing connection, 2. Trasmitting data 3. Terminating connection이라는 TCP handshake 과정을 통해서 연결되며 데이터를 전송하여,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세션 정보를 저장한다. Stat..

파이오링크 LB 정책 생성 Config

파이오링크 LB 정책 생성 Config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헬스체크 생성 health-check 1  type tcp   port 8080   apply   exit 2. Real IP 생성 해석real 1  rip 172.20.130.208    name R_Test_HA_1  rport 8080 // 미설정시 속한 slb의 vport를 따라가기 때문에 별도 설정 필요없음  ssl-rport 8080 // 미설정시 속한 slb의 vport를 따라가기 때문에 별도 설정 필요없음   priority 0   // 특정 lb-method 사용시 필요한 설정값  backup 2 (real backup 설정 추가)  apply   exit  실제 configreal 1  rip 172.20.130.208   ..

카테고리 없음 2024.08.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