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Technology 323

VLAN이란? 2탄

VLAN에 대해서 알아보자 VLAN이란 ? Virtual Local Area Network의 약자로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LAN을 논리적으로 분할, 구성하는 기술 VLAN을 나누면 하나의 스위치에서 다른 네트워크를 갖도록 논리적으로 분할한 것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유니캐스트 통신이 불가 Access VLAN은 802.1Q VLAN Tag와 전혀 상관이 없다. 스위치는 자신들의 DB설정에 설정된 Port별 VLAN 번호를 보고 VLAN번호가 같은 port들 끼리만 하나의 LAN으로 동작하게 해준다. 즉 Broadcast Traffic을 VLAN 번호가 같은 Port들로만 Copry하여 보내준다는 의미 출처 : https://blog.naver.com/goduck2/220218907545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이란?

트랜스패런트 브리징(Transparent Bridging)에 대해서 알아보자.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이란 스위치가 MAC Table을 스스로 생성하고 이 MAC Table을 참조하여 수신되는 프레임을 목적으로 전송하는 과정을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이라고 한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은 IEEE 802.1D에 표준으로 정의가 되어 있다. 트랜스패런트 브리징 과정 [Learning > Flooding > Filtering > Forwarding > Aging] 이더넷 프레임이 수신되면, Source MAC address를 읽어서 수신 Port 번호와 함께 MAC Table에 기록한다 (Learning) Destination MAC address가 MAC Table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Unicast 프레임(Unknow..

Cisco Network L2 Switch Config function

Cisco Network L2 Switch Config function 대해서 알아보자. Switch# Switch# Switch#sh run Building configuration... Current configuration : 9435 bytes ! version 12.2 no service pad [과거X.25 프로토콜 사용시 사용하였던 기능으로, 현재는 불필요한 서비스로 보안 취약하여 서비스 중지] service timestamps debug datetime localtime [디버깅 메시지에 타임스템프로 제공] service timestamps log datetime localtime [로깅 메시지에 타임스템프로 제공] no service password-encryption [패스워드 암호화 ..

IT Technology/Cisco 2023.05.04

ARP Table이란?

ARP Table에 대해서 알아보자. ARP Table이란 ?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란 주소를 알아내는 프로토콜이라 표현한다. 상대방의 IP주소를 이용하 하드웨어 주소를 알아내는 것이다. ARP 핵심은 ARP reques가 Broadcast 된다는 것이 핵심이다. LAN 통신을 하고자 하는 상대방 PC나 서버의 IP는 아는데 MAC addres를 모를 때, ARP request 패킷을 보내고, ARP eply 받아서 MAC address를 알아내서 패킷을 상대방에게 보낼 수 있게 된다. LAN 통신을 하는 모든 IP장비들은 LAN Card를 가지고 있고, Card 별 고유 MAC address를 가지고 있다. LAN Card는 정상 상황에서 Ethernet Framne..

MAC Table이란?

MAC Table에 대해서 알아보자. 시작에 앞서 스위치는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동작하고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스위칭 허브라고 불린다. 장비의 외형은 허브와 비슷하다. MAC Table이란 스위치 내부에는 MAC address Table이 있다. 줄여서 MAC Table이란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주소가 등록되는 데이터베이스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가 추가된 프레임이라는 데이터가 스위치로 전송되면,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고 출발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MAC 주소를 포트와 함께 등록한다. 이를 MAC 주소 학습 기능이라 한다. 스위치의 MAC Table은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연결된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RSTP와 PVST 차이

RSTP와 PVST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요 차이점 RSTP (Rapid Spanning Tree Protocol)는 원래 STP와 비교하여 토폴로지가 변경된 후 상당히 빠른 스패닝 트리 컨버전스를 제공한다. RSTP는 새로운 컨버전스 동작과 브리지 포트 역할을 새로 소개한다. PVST는 Per-VLAN Spanning Tree를 나타낸다. Cisco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독점 버전으로, PVST를 사용하면 각 VLAN에 대한 스패닝 트리를 만들 수 있다. PVST 기술 portfast : 포트활성화 시 바로 전송상태가 되는 기능 uplinkfast : 직접 연결된 링크가 다운되었을 때 차단 상태에 있는 포트를 즉시 전송 상태로 변경 backbonefast : 간접링크가 차단 되었을 때 차단 상태..

Linux nfs mount(마운트) 방법

Linux nfs mount(마운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NFS를 이용하기 위해 서버 구축부터 실시 NFS 서버 구축 NFS 프로그램 설치 명령어 기존 설치 확인 # rpm -qa | grep nfs-utils 신규 설치 # yum -y install nfs-utils 서버에서 디렉토리 공유 디렉터리를 공유하기 위한 환경설정 파일 # vi /etc/exports 입력 : 공유디렉토리명 접근가능한 클라이언트주소(공유옵션) ex : /home/share 172.16.1.0/24(rw) ※ 공유 옵션 ro : 읽기 권한만 부여 rw : 읽기 쓰기 권한 부여 ecure : 클라이언트 마운트 요청 시 포트를 1024 이하로 설정 noaccess : 액세스 거부 root_squach : 클라이언트 root로 ..

IT Technology/Linux 2023.04.24

Linux 파일시스템 확장 방법 2가지

Linux 파일시스템 확장 방법 2가지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일 시스템을 확장하여 확장된 공간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파일 시스템 종류에 따라 명령어가 달라집니다. ex4를 사용하는 경우 resize2fs 명령어를, xfs를 사용하는 경우 xfs_growfs 명령어를 활용한다. 코드 예제 파일 시스템 확장(ext4) sudo resize2fs /dev/vda1 코드 예제 파일 시스템 확장(xfs) sudo xfs_growfs -d / 출처 https://console.kakaoi.io/docs/posts/vm/vm_htg/2022-08-07-vm_htg_extendFilesystem/vm_htg_extendFilesystem#%ED%8C%8C%EC%9D%BC-%EC%8B%9C%EC%8A%A4%E..

IT Technology/Linux 2023.04.23

Linux XFS LVM 디스크 증설 (용량 늘리기)

Linux XFS LVM 디스크 증설 (용량 늘리기)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Linux7 버전을 디폴트로 설치하다 보면 생성되어지는 시스템이 xfs 파일시스템이다. ext4에 비해 여러면에서 개선되었다고 하지만 xfs는 확장은 되지만 축소는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이런 xfs 파일시스템의 LVM 디스크 증설은 어떻게 하는지 확인해 보자. 1. 디스크 정보 확인 [root@test ]#fdisk -l | grep "dev/vd" Disk /dev/vda: 128.8 GB, 128849018880 bytes, 251658240 sectors /dev/vda1 * 2048 2099199 1048576 83 Linux /dev/vda2 2099200 251658239 124779520 8e Linux LVM ..

IT Technology/Linux 2023.04.21

Linux VM Disk 추가 시 재부팅 없이 Disk 인식 방법

Linux VM Disk 추가 시 재부팅 없이 Disk 인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현상 VMWare와 같은 가상화 솔루션을 사용하면 유동적으로 디스크를 추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VMWare에서 VM에 disk 장치를 추가했음에도 불구하고 VM 내 Linux OS에서는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예시 [root@server /]# fdisk -l | grep /dev/sd Disk /dev/sda: 53.7 GB, 53687091200 bytes, 104857600 sectors /dev/sda1 * 2048 2099199 1048576 83 Linux /dev/sda2 2099200 104857599 51379200 8e Linux LVM ​ -> VM 내 실제 디스크는 sda,..

IT Technology/Linux 2023.04.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