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RSTP와 PVST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주요 차이점
- RSTP (Rapid Spanning Tree Protocol)는 원래 STP와 비교하여 토폴로지가 변경된 후 상당히 빠른 스패닝 트리 컨버전스를 제공한다.
- RSTP는 새로운 컨버전스 동작과 브리지 포트 역할을 새로 소개한다.
- PVST는 Per-VLAN Spanning Tree를 나타낸다.
- Cisco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독점 버전으로, PVST를 사용하면 각 VLAN에 대한 스패닝 트리를 만들 수 있다.
PVST 기술
portfast : 포트활성화 시 바로 전송상태가 되는 기능
uplinkfast : 직접 연결된 링크가 다운되었을 때 차단 상태에 있는 포트를 즉시 전송 상태로 변경
backbonefast : 간접링크가 차단 되었을 때 차단 상태의 맥스에이지를 생략하고 청취상태로 변경
PVST+ 기술
PVST+ 역시 VLAN 마다 다른 STP인스턴스를 가지며 ISL 트렁킹과 802.1Q 트렁킹을 제공
BPDU 가드와 root 가드 기능이 추가되었으며, 로드밸런싱도 가능
PVST+ 기술로 타 벤더와의 PVST 호환가능
반응형
'IT Technolog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ARP Table이란? (0) | 2023.05.03 |
---|---|
MAC Table이란? (0) | 2023.04.29 |
FTP 액티브(Active) 패시브(Passive) 차이 (1) | 2023.04.12 |
[Network Tool] Pinginfoview 핑 체크 프로그램 (0) | 2022.11.07 |
광케이블 멀티 모드 섬유의 차이 : OM1, OM2, OM3, OM4 및 OM5 (0) | 2022.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