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Technology 323

CI/CD란 자세하게 알아보기

CI/CD란 자세하게 알아보자. CI/CD 과정   CI (Continuous Integration)   CI는 Continuous Integration 즉, 지속적인 통합이라는 의미이다.  그럼 지속적인 통합이란 : 어플리케이션의 새로운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 및 테스트되어공유 레포지토리에 통합히는 것을 의미한다. (가능하다면 하루에 여러 번까지) CI가 필요한 환경에는 어떤 조건들이 있을까요?다수의 개발자가 형상관리 툴을 공유하여 사용하는 환경대부분 N년차 개발자 분들이시라면, 형상관리 툴(Git, SVN 등)을 사용하고 있다.지속적으로 서비스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현재 개발 중인 어플리케이션은 기능 추가 시마다 commit 등을 날려 레포지토리(Repository)에 버전 업데이트가 ..

깃(Git) 깃허브(Github) 깃랩(Gitlab)은 무엇인가?

깃(Git) 깃허브(Github) 깃랩(Gitlab)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Git이란 무엇인가? 깃(Git0)은 2005년에 리누스 토르발스에 의해 개발된 분산 버전관리 시스템(Distributed Version Control Systems - DVCS)으로, 컴퓨터 파일의 변경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파일에 대한 작업을 조율하는 데 사용된다. 쉽게 말해, 여러 명의 개발자가 하나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참여할 때, 소스 코드를 관리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버전관리는 왜 필요한가? 쉽게 PPT로 발표자료를 만든다고 생각해 보자 처음에 발표. ppt라는 제목의 파일을 만들었다가, 내용이 바뀌면 발표_수정. ppt라는 파일을 만들고, 수정에 수정을 거치면 점점 발표_수정_ver2...

UNIX, LINUX, AIX 명령어 비교하기

UNIX, LINUX, AIX 명령어 비교하기에 대해서 알아보자 유닉스/리눅스 명령어 레퍼런스 파일 명령어 ls - 디렉토리 목록보기 ls -al - 숨은 파일까지 정렬된 형태로 보기 cd dir - dir 디렉토리로 이동 cd - home 디렉토리로 이동 pwd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보여주기 mkdir dir - dir라는 디렉토리 만들기 rm file - file을 지우기 rm -r dir - dir 디렉토리를 지우기 rm -f file - 강제로 file 삭제 rm -rf dir - dir 디렉토리와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모든 파일 삭제 cp file1 file2 - file1을 file2라는 이름으로 복사 cp -r dir1 dir2 - dir1 디렉토리에 있는 것들을 dir2 디렉토리로 복사..

IT Technology/Linux 2022.12.20

Fluentd란 무엇인가?

Fluentd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자. Fluentd는 로그 수집기이다. 보통 로그를 수집하지만, 다양한 데이터 소스(HTTP, TCP 등)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다. Fluentd로 전달된 데이터는 tag, time, record(JSON) 로 구성된 이벤트로 처리되며, 원하는 형태로 가공되어 다양한 목적지(Elasticsearch, S3, HDFS 등)로 전달될 수 있다. 자세한 참고 https://velog.io/@seho100/Fluentd%EB%9E%80 Fluentd란? Fluentd >Fluentd는 로그 수집기입니다. 보통 로그를 수집하지만, 다양한 데이터 소스(HTTP, TCP 등)로부터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Fluentd로 전달된 데이터는 tag, time..

[리눅스] Linux 에서 Listen하고 있는 Port 확인하는 방법

Linux에서 데몬 혹은 어플리케이션이 Listen 하고 있는 Port 확인하는 4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참고 Port 의 상태는 Open, Filtered, cCosed, Unfiltered 가 있다. 1. Netstat Netstat는 Linux 네트워킹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아래와 같이 open되어있는 모든 port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l 옵션 : netstat에 모든 수신 소켓을 표시한다. -t 옵션 : 모든 TCP 연결을 표시한다. -u 옵션 : 모든 UDP 연결을 표시한다. -p 옵션 : 포트에서 수신하는 어플리케이션/데몬의 이름을 표시한다. -n 옵션 : 서비스 이름 대신 port 번호를 표시한다. 명령어 : sudo netstat -ltu..

IT Technology/Linux 2022.12.08

CI/CD(지속적 통합과 지속적 전달)란 무엇인가?

CI/CD(지속적 통합과 지속적 전달)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알아보자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 CI)과 지속적 제공(Continuous delivery, CD), 줄여서 CI/CD는 애플리케이션 개발팀이 더 자주, 안정적으로 코드 변경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화와 운영 원칙, 일련의 작업 방식으로 구성된다. CI/CD는 데브옵스팀을 위한 권장 사항이자 애자일 방법론의 권장 사항이기도 하다. CI/CD는 통합과 제공을 자동화함으로써 소프트웨어 개발팀이 코드 품질과 소프트웨어 보안을 보장하는 동시에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데 집중할 수 있게 해준다. CI/CD의 의미 지속적 통합은 개발팀이 작은 코드 변경을 수시로 구현해 버전 제어 리포지토리에 체크인하도록 유도하는 코딩..

Linux Log 확인 및 분석 방법

Linux Log 확인 및 분석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리눅스 시스템의 보안로그는 시스템(SSH, Telnet)의 접속에 대한 로그 파일을 의미한다. 즉, 언제, 누가, 어디에서 어떻게 접속했는지에 대한 로그가 남는 뜻이다. 그렇기에 요즘은 서버 보안이 필수로 사용하는 분위기다. 리눅스 보안 로그 확인 /var/log/secure 경로 확인 /var는 시스템을 운영할 때 발생하는 로그가 위치한 디렉토리다. /var/log/secure는 사용자의 원격(SSH, Telnet, FTP 등) 로그인 정보를 저장하는 로그이다. 이 경로를 통해 확인하면, timestamp, 호스트 명, PID값, 메시지 내용이 기록되어 있고 보통 login,tcp_wrappers,xinetd 관련 로그가 남는다. Tip 1. - ..

IT Technology/Linux 2022.11.23

파티션 테이블 목록

파티션 테이블(Partition Table)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티션 테이블이란? 저장장치에서 사용하는 파티션들을 묶어 저장장치의 맨 앞부분에 모아 부팅 시에 컴퓨터가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며,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이름 최대인식 사용처 AIX 4KB, 64KB, 16MB, 16GB IBM(UNIX SystemV) APM 2.2TB MacOS, OSX BSD(SUN) ??? BSD, FreeBSD, OpenBSD, NeBSD, DragonflyBSD, Solaris DOS(MBR) 2 TB MS-DOS, Windows, Linux GTP 9400000000 TB MS-DOS, Windows, Linux AIX 오래전 IBM PC가 SystemV 사용하던 시절, IBM사 제품들에서 사용하던 파티..

IT Technology 2022.11.22

[Network Tool] Pinginfoview 핑 체크 프로그램

Pinginfoview 핑 체크 프로그램 대해서 알아보자 사용 용도 네트워크 모니터링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PC나 장비들을 헬스체크 허용되지 않은 IP 검출 공식 제조사 다운로드 링크 https://www.nirsoft.net/utils/multiple_ping_tool.html Ping to multiple host names/IP addresses on Windows 10/8/7/Vista PingInfoView is a tool for Windows that allows you to easily ping multiple hosts (ICMP Ping or TCP Ping), and watch the result in one table. www.nirsoft.net 사용방법 1. 최초 실행 화면 ..

광케이블 멀티 모드 섬유의 차이 : OM1, OM2, OM3, OM4 및 OM5

광케이블 멀티 모드 섬유 OM1, OM2, OM3, OM4, OM5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OM1 및 OM2 광섬유는 25Gbps 및 40Gbp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OM3 및 OM4는 25G, 40G 및 100G 이더넷을 지원하는 멀티 모드 광섬유의 주요 옵션입니다. OM1 칼라는 주황색 코어 사이즈-62.5um 데이터 요금-1GB @ 850nm 거리 최대 300미터 애플리케이션-단거리 네트워크, LAN(로컬 영역 네트워크) 및 사설망 OM2 칼라는 주황색 코어 사이즈-50um 데이터 요금-1GB @ 850nm 최대 600미터거리 일반적으로 짧은 거리에 사용 • OM1의 거리 용량의 2 배 애플리케이션-단거리 네트워크, LAN(로컬 영역 네트워크) 및 사설망 OM3 레이저 최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