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Technology 323

Linux OS local 언어 변경

Linux OS local 언어 변경에 대해서 알아보자. Centos나 Reahat Linux를 설치 시 기본 로케일 설정과 키맵 설정은 영어로 되어 있다. localectl을 사용해서 로케일 상태 정보를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해당 부분은 Centos 7 버전 이상에서만 가능하다. 상태 확인 $ localectl status System Locale: LANG=en_US.UTF-8 VC Keymap: us X11 Layout: us 한국어 설정 변경 $ sudo localectl set-locale LANG=ko_KR.utf8 $ sudo localectl set-keymap ko-mac $ sudo localectl set-xll-keymap ko-mac 변경 상태 확인한국어 설정 ..

IT Technology/Linux 2024.03.14

윈도우 사용자 환경 AD연결 실패 조치 방법

윈도우 사용자 환경 AD연결 실패 조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증상 도메인 환경에서 Windows을 실행하는 컴퓨터에 로그온 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가 나타난다. : 이 워크스테이션과 주 도메인 사이의 트러스트 관계를 실패했습니다. 원인 AD서버에는 업데이트가 된 패스워드가 저장되지만, PC에는 여러가지 사유로 패스워드 업데이트가 실패한 것 보통 윈도우패스워드 변경 주기 내 변경하지 않아 만료된 이후 변경하였을 때 도 종종 나타난다. 해결 방법 : 도메인 제거 및 재등록 이 문제를 해결하려면 해당 도메인에서 컴퓨터를 제거 하 고 도메인에 컴퓨터를 연결합니다. 로컬 관리자 계정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로그온 합니다. 시작, 키 및 저장 (또는 마우스 오른쪽 단추로 클릭) 컴퓨터 > . 속성을 선택합니..

리눅스 파일시스템 종류와 차이점

리눅스 파일시스템 종류와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일시스템(File System)이란? 파일의 체계를 말한다. 파일을 효율적으로 기록 및 검색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체계이다. 예시로는 도서관에서 책을 책제목, 저자, 카테고리 등의 항목으로 관리해 검색이나 발견을 쉽게 할 수 있도록 해둔 것과 같은 의미다. 파일시스템 종류 저장매체나 운영체제에 따라 파일시스템의 사용이 제한된다. Window : FAT16, FAT21, exFAT, NTFS Linux : ext2, ext3, ext4, XFS, ZFS, ReiserFS Solaris : UFS, VxFS, QFS, ZFS Macintosh : HFS, HFS+ 포맷(Format)이란? ext1 Extended File System, 리눅스 운영체제를 ..

IT Technology/Linux 2024.03.08

리눅스 echo 명령어, echo 옵션 및 설명

리눅스 echo 명령어, echo 옵션 및 설명에 대해서 알아보자. 리눅스에서 제일 많이 사용하는 출력 명령어인 echo 명령어란? C 언어의 printf 함수에 준하는 화면 출력을 담당하는 명령어이다. 유닉스 및 유닉스 계열(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지정한 문자열 또는 텍스트를 터미널에 출력하는 명령어 일반적으로 터미널 프롬프트 명령이나 쉘 스크립트, 배치파일에서 화면이나 파일로 상황을 알리는 문자열을 출력할 때 사용 문자열과 함께 개행 문자를 덧붙여서 출력이 가능 쉘 스크립트의 변수나 터미널의 환경변수나 변수를 확인할 경우 주로 사용 리눅스 echo 명령어 사용법 echo 명령어 기본 사용법 echo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출력 명령어로 자주 쓰는 명령어이다. 옵션 없이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옵션과 이스케..

IT Technology/Linux 2024.02.28

Linux Server reboot, shutdown time check

Linux Server reboot, shutdown time check 리눅스 서버 재부팅 및 셧다운 시간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Command : last reboot last reboot 명령어는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재부팅한 시간이 언제인지 최신순으로 정렬해서 출력해 준다. Top to Down 방식으로 최신부터 확인된다. 비슷한 명령어로는 last shutdown 명령으로 마지막 셧다운 시간을 체크할 수 있다. Command : who -b who 명령어의 -b 옵션 혹은 --boot 옵션은 마지막 시스템 부팅 시간을 표시

IT Technology/Linux 2024.02.28

Windows Server 디스크 확장 방법

Windows Server 디스크 확장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클라우드 또는 VMware를 통한 가상 서버 환경에서는 필요한 만큼 자원을 추가 확장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운영중인 windows server에서 디스크 증설시에는 물리적 리소스를 추가 후 서버 내에서 추가적인 설정을 통해 쉽고 간단하게 디스크를 증설할 수 있다. Windows Server 디스크 확장 방법 1. 먼저 클라우드 콘솔에서 필요한 만큼 DISK 추가를 신청한다. 2. 디스크 신청이 완료 및 Windows Server에 터미널 접속 후 서버관리자 → 컴퓨터 관리 선택 3. 좌측의 컴퓨터 관리 메뉴 → 저장소 → 디스크 관리를 선택 4. 하단의 현재 사용중인 디스크(디스크1)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여 볼륨 확장선택 5. 볼..

AWS Cloud 용어 설명

AWS Cloud 용어 설명에 대해서 알아보자 리전(Region = 지역) 말 그대로 지역이다. 더 정확하게는 서비스 제공 단위로 분류해놓은 지역이다. 국가 단위의 리전일 때도 있고 지역 단위일 때도 있다. 한국에는 서울 리전이 하나 있다. 그러나 일본에는 도쿄와 오사카 등 2개 리전이, 미국에는 버지니아, 오하이오, 캘리포니아 그리고 오레곤 등 4개 리전이 있다. 이 리전은 하나의 서비스를 온전히 받을 수 있는 범위를 나타낸다(글로벌 서비스는 제외) 그리고 하나의 리전에는 여러 AZ가 있다. AZ(Availability Zone = 가용 영역) 뭔가가 가능한 영역이다. 처음 AWS를 시작할 때 EC2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던 게 전부이던 시절, AZ는 그저 사용한 인스턴스 클래스가 제한되거나 안되거나를 결..

IT Technology/Cloud 2024.02.21

Windows 서버,PC 용량 정리 프로그램(Treesize Free)

Windows 서버, PC 용량 정리 프로그램(Treesize Free)에 대해서 알아보자. PC를 사용하다보면 어느 순간부터 느려지기 시작하거나 디스크의 용량이 부족할 때 가 있다. 디스크를 정리하자니 어디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막막한 경우가 한번씩 있는데 간단한 프로그램을 통해 용량을 빠르게 찾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Treesize Free 다운로드 다운로드 경로 https://www.jam-software.com/treesize_free Find Space Hogs with TreeSize Free | JAM Software I was using Treesize to manage the space on my drive after having installed the Android devkit, ..

AWS RDS 란?

AWS RDS에 대해서 알아보자. 1. RDS란? RDS란 Relational Database Service의 약자로, AWS에서 분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이다. RDS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간편하게 설정, 운영, 확장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하드웨어 프로비저닝, 데이터베이스 설정, 패치 및 백업과 같은 소모적인 관리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AWS RDS 지원하는 DB 유형 인스턴스 2. RDS 장점 (1) 관리 용이성 AWS RDS를 사용하면 프로젝트 개념 정립부터 배포까지 모든 작업을 쉽게 처리할 수 있다. AWS Management Console, AWS RDS 명령줄 인터페이스 또는 간단한 API 호출을 통해 몇 분이면 Production용 관계형 DB의 성능을 활용할 수 ..

IT Technology/Cloud 2024.02.16

AWS IAM 이란?

AWS IAM에 대해서 알아보자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r) AWS의 리소스에 대한 개별적 접근제어와 권한을 가지도록 계정 또는 그룹을 생성, 관리하는 서비스 어떤 IAM 계정은 EC2 서비스만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다른 IAM 계정은 S3 서비스만 접근할 수 있도록 권한을 나눌 수 있다. 초기 AWS 계정 생성 시 해당 게정의 모든 AWS 서비스 및 리소스에 완전한 액세스 권한이 있는 하나의 ID, 즉 AWS 계정 루트 사용자로 시작한다. 일상적인 작업, 관리 작업 조차도 해당 루트 사용자 계정으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지 있다. IAM 계정이 없다면 AWS 계정 자체가 모든 서비스에 대한 권한이 있기 때문에 보안상 취약하다 따라서 IAM 계정을 생성해..

IT Technology/Cloud 2024.02.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