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Technology 323

FMC 유무선 융합 서비스란?

FMC 유무선 융합 서비스에 대해 알아보자. FMC(Fiexd Mobie Convergence) : 유무선 융합서비스 FMC는 하나의 단말로 특정 지역에서는 사내전화로, 외부에서는 일반 핸드폰 기능을 사용하는 일련의 기능을 의미한다.이는 통신비용을 절감하고, 메일, 메신저, 다양한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등 UC(Unified Communication) 애플리케이션의 모바일화, 기타 기업용 데이터베이스 등과 연동해 다양한 부가 기능을 제공하게 하는 기술이다.

Cisco Route map 이란

Cisco Route map에 대해서 알아보자.  1. Route Map   ㅇ 시스코 L3 or 라우터 장비에서 사용되는  일종의 작은 스크립트 형태의 명령어를 말함 2. 참고사항     ㅇ 제시한 조건에 일치하는 어떤 루트에 대해, 그의 속성, 즉 라우팅 메트릭과 같은 속성을 변화시킴으로써 트래픽을 조절한다.   ㅇ 이 기능은, BGP 또는 OSPF에서의 Route redistribution(루트 재분배)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3. BGP  ㅇ route-map에 의해 BGP에서는 다양한 라우팅 정책(policy-based routing)을 매우 세밀하게 적용하며 각종 제어(Route Filtering) 및 변경을 수행      - 어떤 Routing Protocol로부터 다른 Routing P..

IT Technology/Cisco 2024.07.02

웹방화벽 WAF 란?

웹방화벽(WAF)에 대해서 알아보자. 웹방화벽(Web Application Firewall, WAF) 은 일반적인 네트워크 방화벽 (Firewall)과는 달리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에 특화되어 개발된 솔루션이다. 웹방화벽의 기본 역할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SQL Injection, Cross-Site Scripting(XSS)등과 같은 웹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하는 역할이다.웹방화벽은 직접적인 웹 공격 대응 이 외에도, 정보유출방지솔루션, 부정로그인방지솔루션, 웹사이트위변조방지솔루션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다.정보유출방지솔루션으로 웹방화벽을 이용할 경우, 개인정보가 웹 게시판에 게시되거나 개인 정보가 포함된 파일 등이 웹을 통해 업로드 및 다운로드 되는 경우에 대해서 탐지하고 이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

DNS(Domain Name System)란?

DNS에 대해서 알아보자   DNS(Domain Name System)란? Domain Name System의 약자 DNS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이다. 사용자가 'naver.com' 또는 'goog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을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경우 DNS는 해당 사이트의 올바른 IP 주소를 찾는 역할을 한다.일반적으로 우리는 웹사이트에 접속할 때 외우기 어려운 IP 주소 대신 도메인 이름을 사용한다.인터넷에서 모든 장치는 고유한 IP 주소를 가지고 있지만, 우리는 IP 주소보다 도메인 이름을 더 쉽게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때문에 이 도메인은 일종의 별명으로 입력한 도메인을 실제 네트워크상에서 사용하는 IP 주소로 바꾸고 해당 IP 주소로 접속하는 과정이 필요하다.이러한 과정, 전체..

TCP 프로토콜이란?

TCP 프로토콜에 대해서 알아보자. TCP 프로토콜이란?OSI 7 계층 중 4 계층인 전송계층에 속하는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망에 연결된 컴퓨터의 프로그램 간 데이터를 순서대로, 에러 없이 교환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CP 프로토콜 특징 : 연결 지향연결은 가상 회선을 연결하는 것이다.가상 회선이란, 물리적으로 전용회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처럼 가상의 연결 통로를 설정하여 통신하는 방식으로 가상의 연결통로를 의미한다.가상 회선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기 때문에 데이터가 차례로 전송된다.이렇게 전송순서가 보장되면서 순서제어가 가능하다.순서제어란, 이전 데이터[패킷]의 번호를 기억하고 있다가 재입력 시 폐기하고 다음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수신받는다.순서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데이터가 중복없이 순..

Overlay Network & Underlay Network (오버레이, 언더레이)

Overlay Network & Underlay Network (오버레이, 언더레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 Underlay Network (언더레이 네트워크) 용어의 정의실제 장비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인프라를 의미하는 용어이다.물리적인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는 네트워크 장비, 보안 장비 그리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까지 포함되는 포괄적인 의미다.○ 언더레이 네트워크의 단점과 한계항목설명낮은 링크 사용률- 라우팅은 일반적으로 Best-Path로 선출된 경로로만 전달 되기 때문에 다른 Link의 사용율이 낮음.- Routing Protocol 조절을 통해 ECMP(Equal-Cost MultiPath) 구현이 가능하나 어렵고 복잡함경직성- 서비스 변경 및 환경변화가 생겨 수정이 필요할 때 소요되는 시간..

Linux GNU Automake 설치 방법

Linux GNU Automake 설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CentOS 7 기준으로 쓰여진 포스트입니다.M4, autoconf, automake 순서로 설치해야 오류를 피할 수 있다. 먼저, M4, autoconf, automake 압축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최신 버전은 링크(m4, autoconf, automake)에서 각각 확인 가능압축은 이렇게 풀면 된다.항목별 다운로드 # m4 wget https://ftp.gnu.org/gnu/m4/m4-1.4.19.tar.gz# autoconf wget http://ftp.gnu.org/gnu/autoconf/autoconf-2.72.tar.gz# automake wget http://ftp.gnu.org/gnu/automake/automake-1.1..

IT Technology/Linux 2024.06.19

오라클 클라우드(OCI) SSL 인증서 적용 방법

오라클 클라우드(OCI) SSL 인증서 적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OCI LB에 인증서 등록은  Chain, Wildcard 인증서 + Private Key만 등록한다.2. LB에 인증서 업데이트 하고 Backend Set 편집 후 Use SSL로 인증서 업데이트3. Listeners에 Listener 생성하여 적용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는데 사용자 환경에 따라 Listeners 방식으로도 운영함  참고https://docs.oracle.com/en-us/iaas/Content/Balance/Tasks/managingcertificates.htm

IT Technology/Cloud 2024.05.29

로드밸런싱, 클러스터링 차이

로드밸런싱, 클러스터링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로드밸런싱이란? 트래픽이 많을 때 가상 IP를 통해 여러 서버에 접속하도록 분배하는 기능이다.로드밸런싱을 이용하면 한 서버가 내려가더라도 이중화시킨 다른 서버에서 서비스를 지속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자들이 문제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로드밸런싱의 문제는 세션(Session) 이다.세션이 저장된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의 세션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세션을 고정(session sticky)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특정 사용자의 요청이 전달될 노드를 고정시킬 수 있다.하지만 고정된 세션의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면 고정한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하여 비활성화된 노드에 대한 고려가 필..

IT Technology 2024.05.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