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Technology 323

ACL(Access Control List) 설정 방법

Standard ACL 이란? Standard ACL은 출발지 ip 혹은 출발지 network 대역으로만 보고 결정 Standard ACL TCP/IP에 대한 제어만 가능 Standard ACL 1~99까지 숫자를 ACL 번호로 사용 Standard ACL Command Router(config)#access-list ACL number(1~99) {permit/deny} {source [source-wildcard]} | any(출발지 주소를 안적을시 any라고 하면 모든 주소 포함) Interface ACL-Group설정 Router(config)#interface fa0/1(해당 인터페이스 설정에서) Router(config-if)#ip access-group ACL-number {IN or OUT..

IT Technology/Cisco 2021.03.16

Etherchannel 이란?

Etherchannel 이란? 물리적인 인터페이스 여러 개를 하나인 것처럼 논리적으로 묶어 하나의 인터페이스처럼 사용하는 기능이다. 비슷한 용도의 프로토콜은 LACP(공용) PAgP(시스코)가 대표적이며, 본딩(Bonding) 혹은 티밍(Teeming)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Etherchannel이란 단어는 Cisco에서 사용하는 용어이며, 타 벤더에서는 Link-Aggregation 혹은 Trunk라고 표현한다. Cisco에서 사용하는 다수의 VLAN을 Trunk라는 기술로 표현하지만, 타 벤더에서는 Tagged라고 표현한다. 2개 이상의 채널을 묵었기에 각 포트의 대역폭이 합쳐져 대역폭이 증가하게 된다. 대표적인 사용 예로는 Uplink 포트의 대역폭이 부족한 경우 다수의 포트를 묶어서 대역폭을 확장..

Open SUSE (오픈수세) 리눅스

Open SUSE란? 오픈수세는 데스크탑 환경과 서버 환경, 두 가지 모두 대응하는 리눅스입니다. 뿐만 아니라 상업용인 SLE (Suse Linux Enterprise)도 별도로 있습니다. 안정성과 최신 기술 도입의 비율을 잘 맞춰 대응하고 있는 유서 깊은 리눅스입니다. 데스크탑으로써 충분히 이용이 가능하고, 어떤 면에서는 다른 리눅스들 보다 훨씬 쓰기 쉬운 부분도 많습니다. 오픈수세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신뢰가 아주 두텁습니다. 오픈수세만의 특징인 YasT, OBS로 이 두 가지만 하더라도 많은 사람들에게 다른 리눅스들 보다도 훨씬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있음 YaST 는 SUSE Linux 배포판을 위한 패키지 설치 및 환경 설정 도구입니다. 그래픽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설치부터 운영까지 시스템 관리자가 ..

IT Technology/Linux 2021.03.13

Docker Network 기본 명령어

Network 명령어 #docker network ls #docker network create #docker network connect #docker network disconnect #docker networkinspect #docker network rm #brctl show docker network ls 도커 네트워크 목록 표시 옵션 -f, --filter=[ ] : 출력을 필터링한다. driver : 드라이버 지정 id : 네트워크 아이디 label : 네트워크에 설정된 라벨 (label= 또는 label==로 지정한다 name : 네트워크명 scope : 네트워크의 스코프 (swarm, global,local) type : 네트워크의 타입 (사용자 정의 네트워크 custom/정의완료 네트워..

IT Technology/Cloud 2021.03.12

Linux Shell 종류

Linux에서 이용할 수 있는 쉘에는 몇 가지 종류가 있다. 자주 이용하는 쉘의 특징을 간단히 알아보자. 또한 디폴트로 이용할 수 있는 쉘은 /bin/sh에 심볼릭 링크로 설정된 것이다. 이름 특징 bash 명령 이력, 디렉토리 스택, 명령 변환 기능, 명령이나 파일명의 자동보완 기능 등을 지원하는 고기능 쉘. 대부분의 Linux 시스템이나 macOS(OS X)에 표준으로 탑재되어 있다. csh C언어와 매우 비슷한 쉘로, BSD 계열 OS에서 주로 이용한다 tcsh csh를 개선한 버전으로 명령이나 파일명 등의 자동보완 기능을 갖고 있다. zsh bash와 호환성이 있는 쉘로, 고속으로 작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쉘의 종류가 다르면 쉘 스크립트의 작성 방법도 달라진다. 시스템 구축 현장에서는 인프라 프로..

IT Technology/Linux 2021.03.11

Docker Hub Login / Login permission denied 해결방법

Docker login 설명 도커 허브 레포지토리를 사용하기 위해 로그인이 필요하다. docker login [옵션] [서버] -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사용자명과 비번을 물어본다. 서버명을 지정하지 않으면 도커 허브에 자동으로 액세스된다. 옵션 --password, -p 비밀번호 --username, u 사용자명 Docker login 도중 /var/run/docker.sock의 permission denied 발생하는 경우 해결방법 해결방법 /var/run.docker.sock 파일의 권한을 666으로 변경하여 그룹 내 다른 사용자도 접근 가능하게 변경 Command : 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 chown으로 group ownership 변경하기 Command ..

IT Technology/Cloud 2021.03.10

VirtualBox 마우스 포인트 설정 방법

Oracle Virtual Boxd에서 가상의 Linux 를 올려서 사용 시 마우스 커서를 기존 PC로 이동하여 사용이 필요할때 아래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주황색 테두리 안에서 마우스 우측 클릭 키보드 설정으로 이동 Ctrl + Alt키로 설정을 변경 후 확인 (설정 변경은 본인의 사용 스타일에 맞추어서 변경) 설정이 완료 되면 VitrualBox에서 Ctrl + Alt 키를 눌러서 마우스 포인트를 기존에 윈도우로 빠져나올 수 있다.

IT Technology/Linux 2021.03.08

도커 레지스트리, 도커 허브 란? Docker Registry, Docker Hub ?

도커 레지스트리란? Docker Registry? 도커 이미지를 사용자들끼리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레지스트리는 크게 2가지 종류, Public 레지스트리, Private 레지스트리로 나뉜다. Public 레지스트리는 도커의 공식 레지스트리인 도커 허브와 기타 다른 벤더 업체들의 레지스트리가 존재한다. Private 레지스트리는 사용자가 직접 레지스트리를 구축해서 자신의 내부망에서 사용(팀원이나 회사에서 공유)하거나 외부망과 연결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커 허브란 ? Docker Hub? 1. 접속하기 : https://hub.docker.com/ Docker Hub We and third parties use cookies or similar technologies ("Cookie..

IT Technology/Cloud 2021.03.05

클라우드란? Cloud?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내 장치가 아닌 다른 제3의 공간인 클라우드에서 원하는 기능을 제공받는 것. 제3의 공간은 중앙집중화된 대형 데이터센터+관리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기능은 IaaS, PaaS, SaaS 등이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구매하거나 소유하지 않고, 필요한 만큼 사용료를 주고 쓰는 것. WEB+DB 서버를 구축하는데 클라우드가 아닌, 직접 모두 구매해서 사용한다면? 이렇게 자체적으로 직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구축하는 방식을 온프레미스(On-premise) 라고 한다. 클라우드가 아니므로, 모든 인프라 요소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장비,케이블,공간,보안,공조,운영체제,미들웨어,유지보수) 등을 직접 해야한다. 이러한 내용을 나열해본다면 다음과 같을 것이다. Ex) 먼저 계획을 해..

IT Technology/Cloud 2021.03.04

BMT / POC / Pilot 이란?

IT용어 중 BMT, POC, Pilot이란 무엇인가? POC (Proof Of Concept : 기술 검증, 개념 검증) 기존 시장에서 사용되지 않던, 신기술을 프로젝트에 도입하기에 앞서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 사업과 관계가 약간은 동떨어진 기술 검토를 위한 프로젝트 고객사에서 하고, 업무는 아주 간단한 것을 수반 신기술 여부는 중요치 않다 Pilot 이미 검증된 기술을 가지고,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에 앞서 소규모로 진행해보는 시험 프로젝트를 말함. 즉, 프로그램을 실제로 운용하기 전에 오류 또는 부족한 점을 찾기 위하여, 실제 상황과 유사한 조건에서 시험 가동하는 행위 본사업(프로젝트) 진행을 위한 수행 안 검증 프로젝트로 가령 기술셋을 확정했으면 그 기술셋으로 실제 업무에 적용해보고 문제점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