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Technology 323

SDN 기술 정리

배경 : 지능화, 가상화 기반의 네트워크로 대변되는 Programmable Network의 필요성 대두 네트워크 가상화와 지능화를 위해 소개된 기술이 SDN과 NFV 기술이다. SDN 기술 : 네트워크 " 설정 " 을 소프트웨어적으로 제어 하는 기술 NFV 기술 : 네트워크 " 기능 " 을 소프트웨어적으로 가상화하여 제어 및 관리하는 기술 1. SDN 기술 산업체를 중심으로 SDN 기술의 개발과 표준화가 진행되고 있고, ONF(Open Networking Fodation) 산업체 컨소시움의 대표적인 예로 보여지고 있다. ONF는 아래의 그림과 같이 SDN 구조를 정의했다. 즉 네트워크를 SW적으로 프로그램화하여 중앙에서 제어한다. 하드웨어 기반의 데이터 전달 기능과 SW 제어기능이 결합된 기존스위치, 라..

Cisco 날짜 및 시간 설정방법

현재 시간 확인 #show clock time zone 설정 - 로그 날짜가 7y 11w 표기를 날짜 시간 표기로 변경 시 Config #service timestamps debug datetime localtime #service timestamps log datetime localtime [로그를 년 / 월 / 일 포함하여 동기화한 라우터 자체 시간으로 입력] #clock timezone KST 9 수동 입력시 #clock set 17:10:55 Feb 13 2021 #clock timezone KST 9 NTP 클라이언트 설정 #ntp update-calendar #ntp server 203.248.240.103 NTP 상태 확인 #show ntp status [해당 ntp server 하고의 싱크..

IT Technology/Cisco 2021.02.23

Layer4, Load balancing Algorithm (L4 알고리즘)

Network Layer4 장비의 로드밸런싱 알고리즘 1. Hashing algorithm (해싱 알고리즘) - Hashing (hash) 알고리즘에서는 새로운 연결(TCP/UDP) 시 각 클라이언트에 대해 hashing key를 가지고 경로를 지정한다. Hashing key는 클라이언트의 IP + port 혹은 IP 주소만으로 결정된다. 장점 : 메모리를 적게 사용하고 요구 절차가 간단하다 2. Round-robin algorithm (라운드로빈 알고리즘) - Round-robin 알고리즘은 round-robin 방식으로 경로를 지정한다. 모든 클라이언트는 동일하게 취급되며 실 서버 혹은 경로는 같은 처리량을 보유해야 한다. - SLB에 많이 사용되며 만약 각기 다른 처리 능력을 가진 서버가 있을 경우..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Distance Vector Routing Protocol 개요 ㆍ 목적지 네트워크가 어느 방향(Vector), 얼마간의 거리(Distance)에 있는 지를 기준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구성한다. ㆍ 목적지에 대한 정보 및 목적지를 찾아가는 경로에 대한 우선 순위를 인접한 라우터에 의존하는 라우팅 프로토콜 ㆍ 라우터 간에 각자가 보유한 라우팅 테이블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해서 전달된 라우팅 정보가 라우터를 통과할 때마다 distance (거리, Hop)값이 더해지는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ㆍ Full Update이다. 즉,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update한다. ㆍ 인접 라우터의 라우팅 테이블을 Update 받은 라우터는 자체 보유한 라우팅 테이블과 비교하여 Better Route만을 Update한다. Dis..

Cisco mirroring Configuration (시스코 미러링 설정)

Cisco 장비 미러링 포트 설정하기 미러링 대상 포트에서는 설정을 하지 않으며, monitor session을 통한 설정 실시 설정 전 주의사항 기존에 모니터 세션이 있는지 확인하기 있을 시에 비어져 있는 걸로 생성 Catalyst 장비에서 사용시 설정하는 방법 (config)#monitor session 1 source interface Gi1/10 (config)#monitor session 1 source interface Gi2/10 (config)#monitor session 1 destination interface Gi3/10 Nexus 장비에서 사용 시 설정 방법 monitor session 1 description " TAP_mirroring " source interface Ether..

IT Technology/Cisco 2021.02.15

GARP란? Gratuitous ARP

GARP란? Gratuitous ARP를 줄여서 GARP라고 부른다. 'Gratuitous' 의 사전적인 의미는 불필요한, 쓸모없는이라는 뜻으로 직역하자면 불필요하고 쓸모없는 프로토콜이라는 뜻으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아니다 ARP 프로토콜의 특수한 형태 네트워크 상의 다른 장비들의 ARP 캐쉬를 갱신 또는 중복방지를 위해, 자신의 하드웨어 주소 및 IP 주소를 브로드캐스팅 하여주는 간단한 프로토콜 Gratuitous ARP 목적 ㆍ IP 중복, 충돌 방지 (ACD, Address Conflict Detection) - 통상적으로 컴퓨터가 최초로 부팅 또는 DHCP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할당 받았을 때, : 자신의 IP 주소가 중복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 자신의 IP를 요청하여 봄으로써 중복방지를 할..

IT Technology/Cisco 2021.02.14

Classful, Classless 주소 방식

ㆍ Classful 주소 방식 - 기존의 Class 별로 분류되어 있는 Network 범위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분류하고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 ㆍ Classless 주소 방식 - 기존의 Class 별로 분류되어 있는 Network 범위를 사용하지 않고 관리자가 임의로 네트워크를 분류하고 주소를 지정하는 방식 - 관리자의 임의로 네트워크를 분류하기 때문에 PC입장에서는 어디까지가 Network 범위인지 구분할 수 없음. - 이를 식별하려면 Subnetmask 사용 ㆍ Subnetmask - Network ID, Host ID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Mask로 Network ID는 1bit, Host ID는 0비트 사용 ㆍ IP Class 범위 - A클래스 : 0~127 / 0.0.0.0 ~ 127.255..

Routing Protocol (라우팅 프로토콜이란?)

Routing Protocol 구분 ㆍAutonous System(AS) - 라우팅 정책이 같은 라우터와 네트웍들의 집합 ㆍ 범위에 따른 분류 - Interior Gateway Protocol(IGP) : RIP, IGRP, OSPF, EIGRP, IS-IS - Exterior Gateway Protocol(EGP) : EGP, BGP ㆍ 사용하는 Algorithm에 따른 분류 - Distance Vector : RIP, IGRP, EIGRP(Hybird) - Link state : OSPF, IS-IS ㆍ Subnet 정보 전달 여부에 따른 분류 - Classful : RIP v1, IGRP - Classless : RIP v2, EIGRP, OSPF, IS-IS, BGP ㆍ 지원하는 Route에 따른..

MAC Address 학습 기능

초기상태에서의 스위치는 MAC address table이 비어 있다. 호스트A에서 호스트C로 프레임을 보내게 되면 스위치는 E0 포트에 호스트A의 MAC address를 기록한다. 이때 목적지 주소가 MAC address Table에 없으므로 다른 모든 다른 모든 스위치 포트로 프레임을 Flooding 한다. (Unknown unicast are flooded) 송신지 주소의 0260.8c01.4444를 MAC address Table에 저장한다 전송된 프레임 내에 있는 수신지 주소인 0260.8c01.2222(C 스테이션)를 MAC 어드레스 테이블의 엔트리들과 비교한다. 수신지에 대한 포트 MAC 어드레스 매핑이 없다는 판단이 설 경우 소프트웨어는 프레임이 수신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프레임을 플..

[Linux] 리눅스란?

1. 리눅스(Linux)란 ? 1-1 리눅스 정의 리눅스(Linux)는 컴퓨터 운영체제 중 하나이며,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멀티테스킹, 다중쓰레드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운영체제(NOS)입니다. 1991년 핀란드의 헬싱키 대학에서 리누스 토발즈에 의해 개발되었고, 독점되거나 배타되지 안는 프리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GNU 프로젝트' 에 따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배포되고 있습니다. 리눅스는 개인용 컴퓨터부터 슈퍼 컴퓨터는 물론 휴대전화, 스마트TV등 임베디드 시스템까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LINUX (Linux Is Not Unix) : '리눅스는 유닉스가 아니다'의 약자 NOS (Network Operation System) : 사람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 1-..

IT Technology/Linux 2021.02.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