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 Technology 323

STP의 Blocking Port 선출과정

STP의 Blocking Port 선출 과정 대해서 알아보자 STP의 Blocking Port 선출 전체 과정 Root-Bridge 선출 Forwarding port 설정 (Designated port & Root port) Blocking port 설정 (Non-designated port) Root-Bridge 선출하기 ㆍ Root Bridge 선출 시 우선순위 - Bridge-ID 낮은 순서 (Bridge-ID = Priority + VLAN + MAC) - Priority + VLAN 번호 낮은 순서 → MAC Address 낮은 순서 선출 과정 한 네트워크 상에 있는 스위치들은 각 스위치에서 만든 BPDU를 서로 주고받아 정보를 학습한다. BPDU 안에 담겨 있는 Bridge-ID를 비교하여 가..

STP 경로 설정 3가지 방법

STP 경로 설정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STP 경로 조정 Cisco Switch는 기본적으로 PVST+ 혹은 Rapid-PVST(RSTP)로 동작한다. (IOS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다) 두 가지 방식 모두 VLAN 마다 독립된 STP 프로세스가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관리자가 별도로 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 모든 VLAN은 공통된 Rooo Bright와 Blocking Port를 사용하게 된다. 이유는 MAC주소에 의해서 Root bridge와 포트 역할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모든 VLAN은 동일한 경로를 사용하여 트래픽을 전송하기 때문에 부하 분산이 되지 않는다. 관리자는 필요에 따라 각 VLAN 트래픽이 다른 경로로 사용할 수 있도록 STP 경로 조정을 수행해야 한다 STP 경로 ..

A10 Networks Thunder Series L4 health check time 조정 방법

A10 Networks Thunder Series L4 health check time 조정 방법 대해서 알아보자 default 값 health global retry 3 interval 5 timeout 5 짧은 가격으로 체크하기 위한 global check time 변경 health global retry 2 (시도횟수) interval 2(초당 간격) timeout 2 (초) - 2초 간격으로 2회 시도하며 2회 시도에도 모드 응답이 없는 경우 2초뒤 Down 각 서비스 포트별로 모니터링도 가능하며, health check time에 대한 설정 가능하다. health monitor NAME method tcp port No. ex) health monitor tcp_8001 method tcp po..

A10 Networks Thunder Series L4 Config

A10 네트워크 Thunder Series의 L4 Config 대해서 알아보자 순서 1. 신규 헬스 모니터랑 서비스 포트 생성(헬스 모니터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적용) health monitor tcp_9999(NAME 생성) method tcp port 9999 (tcp port 설정) - 생성 확인 : show health monitor tcp_9999 2. SLB 대상 서버 확인 및 생성 slb server NAME IP Address ex) slb server NAVER_120.51(NAME 생성) 10.100.120.51(SVR IP 지정) ex) slb server NAVER_120.52(NAME 생성) 10.100.120.52(SVR IP 지정) - 생성 확인 : show slb serv..

[용어] 기간계, 계정계, 운영계, 정보계, 대외계

기간계 1. 새로운 솔루션을 도입하기 전에 사용하던 기존 시스템 2. 기존 시스템의 메인 업무를 담당 3. 레거시 시스템(Lagacy System)이라고도 한다 계정계 1. 이용자의 업무를 처리하는 시스템(이체(입금, 출금), 대출 등) 2. 가장 거대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문제 발생시 치명적이다. 운영계 1. 실시간으로 즉시 처리하는 시스템 2. OLTP(Online Transaction Proccessing) 3. 안정성과 정확성을 위주로 개발한다 정보계 1. 분석이 주 목적이며 운영자가 의사결정(예측, 설명 등의 분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시스템 2. 업무로 인해 정보가 오고가는 동안 발생되는 데이터를 축적, 관리한다 3. OLAP(Online Analysis Processing)가 목적이다 ..

IT Technology 2021.12.03

Cisco Syslog이해

Cisco Syslog에 대해서 알아보자. 시스코 IOS에서 작업을 할 경우 항상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보게 된다. Switch# *Jan 18 11:43:32.316: %SYS-5-CONFIG_I: Configured from console by console Switch# *Jan 18 11:43:32.679: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TenGigabitEthernet1/1/1, changed state to down *Jan 18 11:45:19.750: %LINEPROTO-5-UPDOWN: Line protocol on Interface TenGigabitEthernet1/1/1, changed state to up 이렇게 장비에서 작업..

IT Technology/Cisco 2021.11.16

BPS와 PPS

네트워크 업무를 하다 보면 접하게 되는 BPS와 PPS 대해서 알아보자. BPS(bits per second) BPS란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를 의미한다. 컴퓨터는 2진수인 0과 1의 값만 읽을 수 있고 비트란 0과 1을 나타내는 단위이며, 그렇기 때문에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 bps는 데이터 속도라고 이해하면 편하다. 주로 인터넷 속도를 이야기할때 100M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이것이 실제로는 100Mbps를 나타낸다. bit라고 항상 따라오는게 바로 Byte입니다. 컴퓨터는 8bit를 하나의 그룹으로 사용하는데, 이 그룹을 Byte라고 합니다. (8bit = 1byte, 1bit = 1/8 Byte입니다.) 그렇다면 Byte에 전송속도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궁금한데요 이때 알아야 할 정보가 바로 데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