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의 Blocking Port 선출 과정 대해서 알아보자
STP의 Blocking Port 선출 전체 과정
- Root-Bridge 선출
- Forwarding port 설정 (Designated port & Root port)
- Blocking port 설정 (Non-designated port)
Root-Bridge 선출하기
ㆍ Root Bridge 선출 시 우선순위
- Bridge-ID 낮은 순서 (Bridge-ID = Priority + VLAN + MAC)
- Priority + VLAN 번호 낮은 순서 → MAC Address 낮은 순서
선출 과정
- 한 네트워크 상에 있는 스위치들은 각 스위치에서 만든 BPDU를 서로 주고받아 정보를 학습한다.
- BPDU 안에 담겨 있는 Bridge-ID를 비교하여 가장 낮은 값을 가진 스위치가 루트 스위치로 선출된다
- Bridge-ID의 우선순위는 기본적으로 32768로 설정되어 있기에 대게 MAC 주소가 낮은 스위치가 선출되게 된다.
Forwarding port & Blocking port 설정하기
ㆍSTP Port 종류
Designated Port (DP)
- Root Bridge의 BPDU를 다른 스위치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지정된 포트 (Forward 상태)
- Root Bridge는 모든 포트가 DP로 설정이 되어 Forward 상태가 된다.
- 하나의 세그먼트당 하나의 DP만 설정할 수 있다는 규칙을 가진다.
Root Port (RP)
- Root Bridge로 부터 BPDU를 수신하는 포트 (Forward 상태)
- 쉽게 설명해 Non-Root Bridge 에서 Root Bridge로 가는 가장 좋은 길의 포트이다.
- Non-Root Bridge 당 하나의 RP만 설정할 수 있다는 규칙을 가진다.
Non-Designated Port (AP)
- 논리적으로 통신을 하지 못하게 막아두는 포트 (Block 상태)
- Alternate Port 또는 Non-DP라고 부른다.
- BPDU 수신을 하지만 Frame을 주고 받지는 못한다.
- DP와 RP를 선정 할 수 없는 포트는 Non-Designated Port 로서 Blocking 상태가 된다.
포트 선출시 우선순위
- 낮은 Cost(대역폭에 따라 산출됨 - 대역폭이 클수록 Cost는 낮다)
- 낮은 Sender Bridge-ID
- 낮은 Sender Port-Priority
PVST+ | RSTP | ||
속도 | Cost | 속도 | Cost |
10G | 2 | 10G | 2000 |
1G | 4 | 1G | 20000 |
100M | 19 | 100M | 200000 |
10M | 100 | 10M | 2000000 |
Priority 조정으로 Root Bridge 및 Port 설정 변경하기
SW1, SW2, SW3이 위와 같은 구조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SW1이 Root Bridge로 설정되어 있다.
Root Bridge 변경하기
Example1 : SW3을 Root Bridge로 변경하려고 한다.
SW3(Config)#spanning-tree vlan 1 Priority 4096의 배수
- 위 예제에서 priority를 직접 작성하고 싶은 경우에는 4096의 배수를 사용한다.
- 시스코에서는 Vlan 별로 STP를 사용하기 위해 Vlan 번호를 넣은 Extended BID를 사용하기 때문
Example2 : SW3은 Root Bridge로, SW1을 후순위 Root Bridge로 설정하려고 한다.
SW3(Config)#spanning-tree vlan 1 root primary
SW1(Config)#spanning-tree vlan 1 root secondary
간단한 명령어로 priority를 조정할 수 있다.
root primary는 해당 스위치가 root가 될 수 있도록 priority값을 낮춰주고
root secondary는 해당 기본 설정보다는 낮게 primary 보다는 높게 설정하여 후순위로 만들어주는 명령
Block port 변경하기
Cost 값 변경
SW(Config)#spanning-tree vlan 1 cost 10
Port Priority 값 변경
SW(Config)#interface gi1/0/1
SW(Config-if)#spanning-tree port-priority 160
출처
'IT Technolog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L2, L3 Switch 이더채널구성(LACP, PAGP) (0) | 2022.01.05 |
---|---|
Network Vender 운영 명령어 (0) | 2021.12.31 |
STP 경로 설정 3가지 방법 (0) | 2021.12.20 |
A10 Networks Thunder Series L4 health check time 조정 방법 (0) | 2021.12.17 |
A10 Networks Thunder Series L4 Config (0) | 2021.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