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332

오라클 클라우드(OCI) SSL 인증서 적용 방법

오라클 클라우드(OCI) SSL 인증서 적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1. OCI LB에 인증서 등록은  Chain, Wildcard 인증서 + Private Key만 등록한다.2. LB에 인증서 업데이트 하고 Backend Set 편집 후 Use SSL로 인증서 업데이트3. Listeners에 Listener 생성하여 적용하는 방식으로 적용하는데 사용자 환경에 따라 Listeners 방식으로도 운영함  참고https://docs.oracle.com/en-us/iaas/Content/Balance/Tasks/managingcertificates.htm

IT Technology/Cloud 2024.05.29

로드밸런싱, 클러스터링 차이

로드밸런싱, 클러스터링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로드밸런싱이란? 트래픽이 많을 때 가상 IP를 통해 여러 서버에 접속하도록 분배하는 기능이다.로드밸런싱을 이용하면 한 서버가 내려가더라도 이중화시킨 다른 서버에서 서비스를 지속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자들이 문제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로드밸런싱의 문제는 세션(Session) 이다.세션이 저장된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의 세션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세션을 고정(session sticky)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특정 사용자의 요청이 전달될 노드를 고정시킬 수 있다.하지만 고정된 세션의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면 고정한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하여 비활성화된 노드에 대한 고려가 필..

IT Technology 2024.05.28

Brocade SAN Switch to Storage 구성 방법

Brocade SAN Switch to Storage 구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SAN Switch에서 스토리지와 연결 구성 방법은 port zoning과 worldwide 방식 구성된다. portzoning 은 SAN SW에서 서버 연결포트 1 : 스토리지 연결 포트 2개를 1개 zone으로 묶는 방식 worldwide zoning 방식은 SAN SW port를 전체 Zone으로 묶는 방식 권장방식은 worldwide zoning 방식이나 작업 편리성은 zoning 방식이기에 zoning으로 많이들 구성한다.

Cisco Switch 제품명의 E와 S의 차이

Cisco Switch 제품명의 E와 S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스위치 제품명의 E와 S의 차이 E는 IPS, S는 IPBIPS는 IP Service software feature set의 약자IPB는 IP Bace software feature set의 약자 ip services 제품은 EIGRP, OSPF, BGP 등 여러 프로토콜 지원되는 버전이며ip base 제품은 RIP, Static Route 가 지원된다. ip services 제품이 ip base 제품보다 가격이 더 높다.

IT Technology/Cisco 2024.05.22

Linux SWAP이란 무엇인가

Linux SWAP이란 무엇인가? 에 대해서 알아보자   Swap이란 무엇인가? Swap은 디스크 일부 영역을 메모리영역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실제 RAM 메모리가 부족할 시 해당 공간을 사용하게 된다.리눅스 용어로는 swap이지만, 윈도우에서는 pagefile이라고 부른다.  Swap은 꼭 필요한가?  만약 내가 사용하는 컴퓨터 혹은 서버의 메모리 용량이 엄청 크고, 절~대적으로 해당 리소스를 오버해서 사용하지 않는다면 OK.그런데 위험 요소를 줄이자면 굳이 안 만들 필요도 없다.보통 일반적으로 8GB 메모리에도 100GB 정도의 디스크를 붙여주는데, 그중 일부를 사용한다고 해서 사용자가 디스크 손해를 어마무시하게 보는 것도 아니다. 그러다 보니 Swap은 필수 생성으로 한다고 보면 된다? 적절한 Sw..

IT Technology/Linux 2024.05.20

오라클 클라우드(OCI) 사용자 계정 추가 및 권한 부여

오라클 클라우드(OCI) 사용자 계정 추가 및 권한 부여에 대해서 알아보자.[Root 권한의 계정을 통해 신규 사용자 계정 생성 및 권한 부여한다]   Step1. 계정 생성을 위한 도메인 접근경로 : Identity & Security → Domains    Step2. Default 도메인 내 User 및 Group 생성순서 : Group 생성 후 User 생성 (User 생성 시 그룹 지정)     Step3. Polices 생성 후 그룹에 권한 부여순서 : Compartment  이동 후 Create Policy   Step4. 생성된 Polices 내 그룹 지정 및 권한 부여양식) Allow group UserAdmins to inspect groups in tenancy       참고http..

IT Technology/Cloud 2024.05.16

Linux NTP(Chrony) 시간 동기화 설정 방법

Linux NTP(Chrony) 시간 동기화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NTP : Network Time Protocol을 구현한 시간 프로토콜이며, Linux 8 버전부터는 Ntp가 아닌 chrony를 사용한다. 설정 방법은 간략하다. Step 1 패키지 설치  dnf install chrony / yum install ntp Step 2 서비스 활성화 : systemctl enable ntp(chronyd)서비스 시작 : systemctl start ntp(chronyd)상태 확인 : systemctl status ntp(chronyd) Step 3 NTP 서버 설정  vi /etc/ntp.conf (chrony.conf)server ip 및 도메인 설정iburst : 동기화 시간을 단축시켜주는..

IT Technology/Linux 2024.05.14

Windows Server CAL이란?

Windows Server CAL에 대해서 알아보자. CAL이란 Client Access License로 Windows Server 라이센스와는 다른 것으로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권한 라이센스로 표현된다.Windows Server를 이용할 때 User CAL(유저칼), Device CAL(장치칼)이란 단어를 듣게 된다.따라서 Windows Server를 기반으로 내부 시스템 구축시 CAL를 함께 준비해야 한다. CAL이 없다고 해서 서버에 접속하는 데에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님, 실물로 존재하는 라이센스가 아니기에 놓치는 경우가 많다. 출처 및 세부 참고https://servermon.tistory.com/6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