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로드밸런싱, 클러스터링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로드밸런싱이란?
- 트래픽이 많을 때 가상 IP를 통해 여러 서버에 접속하도록 분배하는 기능이다.
- 로드밸런싱을 이용하면 한 서버가 내려가더라도 이중화시킨 다른 서버에서 서비스를 지속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속자들이 문제없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로드밸런싱의 문제는 세션(Session) 이다.
- 세션이 저장된 서버가 아닌 다른 서버에 접속하게 되는 경우, 해당 클라이언트의 세션이 유지되지 않기 때문이다.
- 세션을 고정(session sticky)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특정 사용자의 요청이 전달될 노드를 고정시킬 수 있다.
- 하지만 고정된 세션의 노드에 장애가 발생하면 고정한 의미가 없어지기 때문에 장애가 발생하여 비활성화된 노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클러스터링이란?
- 여러 대의 컴퓨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하나의 컴퓨터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 준다.
- 특정 장비에 문제가 생기거나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서비스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해준다.
로드밸런싱과의 차이
- 로드밸런싱은 한쪽 서버에 부담이 가지 않도록 트래픽을 분산해 주는 역할을 한다.
- 반면, 클러스터링은 여러 개의 서버를 하나로 묶어 성능을 높여 많은 양의 트래픽을 처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 클러스터링은 각 노드 간의 상태를 공유하기 때문에 클러스터링 된 서버 중 하나가 죽더라도 기존의 세션 연결이 끊기지 않고 다른 서버로 failover 된다.
세션 클러스터링
- WAS가 2대 이상 설치되어 있을 경우, 각각의 WAS가 다른 세션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세션에 대한 처리 불일치가 일어날 수 있다.
- 이에 따라 각 WAS에 대한 세션을 하나의 세션으로 관리하게 함으로써 새로운 WAS에 접속하더라도 세션에 대한 불일치를 막는다. 이를 세션 클러스터링이라고 한다.
- 이외에도 Redis를 사용하여 세션 서버를 따로 두고 세션을 일치시키는 방법도 있다.
출처
반응형
'IT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격관리툴 mRemoteNG (0) | 2024.09.02 |
---|---|
느려진 PC 관리 방법 nProtect Online Security 삭제 (0) | 2024.07.26 |
베어메탈 서버(Bare Metal Server)란? (0) | 2023.04.19 |
MSA란 무엇인가? (0) | 2023.02.15 |
파티션 테이블 목록 (0) | 2022.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