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파티션 테이블(Partition Table)에 대해서 알아보자
파티션 테이블이란?
저장장치에서 사용하는 파티션들을 묶어 저장장치의 맨 앞부분에 모아 부팅 시에 컴퓨터가 불러올 수 있도록 하는 정보이며,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이름 | 최대인식 | 사용처 |
AIX | 4KB, 64KB, 16MB, 16GB | IBM(UNIX SystemV) |
APM | 2.2TB | MacOS, OSX |
BSD(SUN) | ??? | BSD, FreeBSD, OpenBSD, NeBSD, DragonflyBSD, Solaris |
DOS(MBR) | 2 TB | MS-DOS, Windows, Linux |
GTP | 9400000000 TB | MS-DOS, Windows, Linux |
AIX
- 오래전 IBM PC가 SystemV 사용하던 시절, IBM사 제품들에서 사용하던 파티션 테이블로 블록사이즈를 어떻게 정하느냐에 따라서 4가지 저장용량으로 사용이 가능
APM
- 현재 애플 제품에서 사용하는 파티션 테이블인데 애플답게 베일에 감춰져있다.
BSD(SUN)
BSD 및 BSD 계열 운영체제에서 쓰이는 파티션 테이블로, 운영체제마다 디스크 레이블은 서로 다르지만 이를 묶어 하나의 파티션 테이블로 칭하며 서로의 테이블을 읽을 수 있다. 리눅스에서도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면 읽을 수 있다.
DOS(MBR)
- MS-DOS에서 만들고 이를 리눅스에서도 사용하기 시작했다.
- 파티션 개수는 4개까지만 허용되는데 이 때문에 EBR이라는 것이 생겼다.
- EBR이란 4개의 파티션 중에서 하나를 쪼개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인데 EBR로 선언해버린 파티션으로는 부팅이 안된다.
- 또한 저장용량도 최대 2TB까지 밖에 인식하지 못한다.
GPT
- DOS(MBR)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탄생한 파티션 테이블이다.
- 9400000000TB 용량을 지원하며, 동시에 128개 파티션을 분할할 수 있다.
- 뿐만 아니라 UEFI라는 새로운 부팅 방식도 지원하는데, 이는 Windows 8부터 적용된다.
- 다양한 하드웨어를 더욱 유연하게 지원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반응형
'IT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어메탈 서버(Bare Metal Server)란? (0) | 2023.04.19 |
---|---|
MSA란 무엇인가? (0) | 2023.02.15 |
재해복구(DR : Disaster Recovery)이란? (0) | 2022.10.17 |
AIX 서버 Login 안될 때 확인 방법 (2) | 2022.10.04 |
WebLogic(웹로직) 이란? (0) | 2022.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