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Logic(웹로직)에 대해서 알아보자
WebLogic은 Web Application Server (WAS)의 제품으로 이와 같은 제품들로는 아래와 같은 제품이 있다.
- Oracle의 WebLogic
- IBM의 WebSphere
- TMAX의 JEUS
- Apache의 Tomcat
그럼 WAS를 왜 쓰냐?
일반적인 HTML이나 사진, 플래시 같은 정적인 컨텐츠 등은 WebServer만 있어도 무방하지만 스크립트를 통해 동적인 페이지를 생성해주고 태그 라이브러리등을 개발할 수 있는 등 여러모로 활용도가 높은 JSP, ASP, PHP 같은 서버 스크립트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하여 이러한 스크립트들을 처리할 수 있는 WAS라는 제품들을 사용하게 되었다.
쉽게 말해서 우리가 네이버를 하기 위해서 웹브라우저를 실행한다.
그리고 http://www.naver.com을 을 부른다.
그럼 네이버의 웹서버에서 요청을 받아서 HTML이나 Object를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보내준다.
하지만 JSP 등(동적 컨텐츠)를 웹 서버에서 처리하기 힘드니 WAS에게 요청을 한다.
그럼 WAS에서 JSP 같은 동적 컨텐츠를 처리하여 웹서버에게 다시 주면 우리에게 네이버라는 페이지가 보이게 된다.
예시
- 사용자 : 네이버 페이지 불러주세요
- 웹서버 : WAS님 요청이 들어왔으니 동적 서버 컨텐츠를 처리해주세요
- WAS : 잠시만요...(로딩 중...) 여기 있습니다.
- 웹서버 : 사용자님 기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자 이제 페이지를 보여드릴게요 :-)
사용자의 페이지에서 DB 요청이 생기게 되면 동일하게 WAS가 DB에 요청을 하여 정보를 가져온다.
이렇게 중간에서 Application(Servlet)을 담당하는 WAS의 특징 때문에 미들웨어라고 불리게 되는 것이지요.
자 그럼 Apache에서 제공하는 톰캣이라는 무료 WAS가 있는데 굳이 WebLogic을 쓰느냐가 중요하죠?
- 물론 단순히 HTML, Servlet, JSP만 사용할 경우 우리의 고양이만 있어도 됩니다.
- 하지만 Sun Microsystem사에서 EJB라는 자바 컴포넌트 모델이 나오게 되고, JDBC JTA(트랜잭션 처리), JMS(메시징 서비스), JNDI(디렉토리 서비스)등의 강력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EJB 컨테이너가 있는 WebLogic, WebSphere, Jeus 등을 사용하게 되었다.
요즘에는 EJB보단 WEB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추세로 변경되었다.
- Apache의 Tomcat 경우 오픈소스로서 여러 기능들이 패키지화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모듈이 꼬이게 되며 문제가 자주 발생하는 사례가 많다.
- 실제 운영 사이트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장애처리를 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 비용이 발생하더라도 기술 지원을 받기 위해서 벤더사의 WAS를 사용하고 있다.
- WAS별 장단점이 있지만 보통의 사이트에서는 WebLogic, JEUS 등이 많은 이유는 기술지원과 안정적인 측면이 크기에 많이들 사용하고 있다.
출처
https://blog.naver.com/PostView.nhn?blogId=ailov&logNo=60151010900
'IT Techn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해복구(DR : Disaster Recovery)이란? (0) | 2022.10.17 |
---|---|
AIX 서버 Login 안될 때 확인 방법 (2) | 2022.10.04 |
애자일이란 무엇인가? (0) | 2022.07.15 |
프로젝트 관리 프로세스란 무엇인가?? (0) | 2022.07.13 |
Putty 무설치 다운로드 (0) | 202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