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Technology/Cloud

Cisco Switch interface error 설명

by빵수 2024. 9. 9. 14:23
728x90
반응형

Cisco Switch interface error에 대해서 알아보자

 

Cisco Switch에서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에러 카운트를 보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사용한다.


명령어  : show interfaces counters error


Port / Align-Err / FCS-Err / Xmit-Err / Rcv-Err / UnderSize / OutDiscards

Te2/1 0 0 0 0 0 0

Te2/2 0 0 0 0 0 0

Te2/3 0 0 0 0 0 0

Te2/4 0 0 0 25 0 0

Te3/1 0 0 0 0 0 0

Te3/2 0 0 0 0 0 0

Te3/3 0 0 0 0 0 0

Te3/4 0 0 0 656 0 0



위에서 보면 Te3/4에서 Rcv-Err가 많이 올라옴을 알 수 있다.
명령어를 통해 해당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세 에러를 다시 보면 아래와 같다.

​명령어 : sh interfaces te3/4 counters errors 



Port / Align-Err / FCS-Err / Xmit-Err / Rcv-Err / UnderSize / OutDiscards

Te3/4 0 0 0 944 0 0

Port / Single-Col / Multi-Col / Late-Col / Excess-Col / Carri-Sen / Runts

Te3/4 0 0 0 0 0 0 0




에러의 종류와 원인


​Align-Err, FCS-Err, Xmit-Err, Rcv-Err... 등 많은 에러 정보들이 있다.
각각의 의미는 아래와 같다.



[Align-Err]
Description(서술): 이 에러는 받은 패킷들이 헤더에 명료 된 사이즈보다 길 때 또는 CRC 체크가 실패할 때 나타납니다.
Common Causes(원인): 이 증상은 듀플렉스가 맞지 않을 때 또는 캐이블, 랜카드 그리고 접속된 포트가 이상 시 발생합니다. 스위치 디바이스에 랜포트를 연결 시 나타날 수 있으며 또 다른 가능성으로 허브에 연결 시 충돌이 발생하는데 그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babbles]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이 에러는 1518 octets보다 긴 패킷을 보낼 때 전송 실패 시 나타납니다. 증상이유는 alignment 에러로 발생할 수 있으며 FCS 에러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Carri-Sen]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CSMA/CD의 개념이 이곳에 적용됩니다. 이 counter의 증가는 매번 하프 듀플렉스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보낼 때 발생합니다.

[collisions]
Descriptions(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프레임을 전송하기 전에 충돌이 발생한 수를 나타냅니다.
Common Causes(원인) : 일반적으로 half 듀플렉스 모드에서 발생하며 풀 듀플렉스 모드에서는 볼 수가 없다네요. 만약 충돌 횟수가 눈부시게 증가할 경우에는 접속된 링크가 열라 바쁘거나 아님 듀플렉스 모드에 이상이 있을 수 있다. 참고로 하프 듀플렉스는 원 웨이를 말하며 풀 듀플렉스는 2차선 도로를 말합니다.

[CRC]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1층에서 점검 시, 랜 전송 구간에서 발생하며 또는 받는 쪽 장비에서 해석하지 못할 시에도 발생합니다.
Common Causes(원인): 이 증상은 일반적으로 1층 구간의 노이즈나 전송구간에서 발생합니다. CRC의 증가는 충돌이 발생해서 생길 수 있으며 물리적인 문제로 발생될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은 구간 구간마다 루프 테스트를 통해 확인합니다.

​[deferred]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이 필드는 하프 듀플렉스 모드에서 발생하며 프레임이 전송되긴 하나 늦게 보낸 수를 나타냅니다. 이유는 라인이 바빠서 생깁니다.

 

[input packets with dribble condition]
Description(서술) :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이 드리블 에러는 프레임이 얇고 길어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Common Causes(원인): 이 프레임 에러는 스위치가 프레임을 받은 수를 나타냅니다. (에러로 표현하기엔 조금 이상하네요)

​[Excess-Col]
Description(원인):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이 프레임의 수는 최초 충돌 발생 후 재 시도 횟수가 16번 이상이 되면 패킷을 버리게 되는데 그 수를 나타냅니다.
Common Causes(서술): 이 에러는 전형적으로 하프 듀플렉스 모드 사용 시 라인이 바쁘기 때문인데 해서 세그먼트를 쪼개는 필요함을 나타내고 또는 듀플렉스가 맞지 않을 때도 발생합니다. 풀 듀플렉스에서는 볼 수가 없습니다.

[FCS-Err]
Description(서술): 이 에러는 프레임을 받은 후 프레임을 FCS와 같이 맞추어 볼 때 발생합니다. 해서 발생지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Common Causes(원인): 이 에러는 물리적인 구간에서 발생하거나 듀플렉스가 맞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frame]
Description(원인):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이 패킷의 수는 CRC에러와 Alignment 에러와 같이하며 옳지 못한 패킷을 받았을 때 발생합니다.
Common Causes(서술): 이 에러는 물리적인 구간에서 발생하거나 듀플렉스가 맞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Giants]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and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이더넷 상황에서 IEEE802.3 프레임 사이즈는 최소 64바이트에서 1518 바이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 프레임이 과잉되고 FCS의 처리가 불가할 때 나타납니다.
Common Causes(원인): 이 증상은 많은 부분에서 NIC의 문제이며 짜증나게 하는 이 장비를 네트워크에서 찾고 버립니다.
Platform Exceptions - Catalyst Cat4000 Series running Cisco IOS
12.9 버전에서는 giants의 수가 1518 바이트보다 클 경우 발생했으나, 12.1 이후부터는 바이트보다 클 경우, 그리고 FCS를 처리할 수 없을 경우 함께하여 나타냅니다.

[ignored]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물리적인 인터페이스가 가진 버퍼가 수용할 수 있는 패킷 수를 넘을 시 버려지게 됩니다.
Common Causes(원인): 이유는 브로드케스트 스톰과 라인 노이즈로 인해 버려지는 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Input errors]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Common Causes(원인): 이 에러는 runts, giants, no buffer, CRC, Frame overrun 과 여러 다른 이유로 발생된 에러들을 총괄하여 나타냅니다. 하지만 상위 레이어에서 발생되는 에러들은 카운트에서 제외됩니다.

[Late-Col]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and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충돌이 발생한 인터페이스에는 이 값이 나타납니다. 10Mbit/s 구간에서 패킷 전송을 하는 과정 중 필요시간이 512 bit-times(51.2 microseconds) 초과된 패킷 수를 나타냅니다.
Common Causes(원인): 이 에러는 듀플렉스가 맞지 않을 경우 발생될 수 있습니다. 역시 하프 듀플렉스 모드에서 발생되며 케이블과 세그먼트가 너무 긴 경우 발생됩니다. 풀 듀플렉스 모드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lost carrier]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전송 중 패킷이 없어졌을 때 발생합니다.
Common Causes(원인): 캐이블 점검 및 장비의 인터페이스를 양쪽에서 점검.

[Multi-Col]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이 에러는 프레임 전송 중 다수의 충돌이 발생된 것을 나타냅니다.
Common Causes(원인): 약간의 충돌은 정상적이다. 그러나 충돌 발생 비율이 4~5%씩 증가하면 장비의 장애 유무를 확인하거나, 새로운 세그먼트를 만들어 사용자를 나누는 것이 필요.

 

[no buffer]
Description(서술): 패킷이 버려진 것을 나타내며 이유는 장비내의 버퍼 공간이 없기 때문입니다.
Common Causes(원인): Ignored 숫자와 비교해 보세요. 가끔 브로드케스트 스톰이 이 증상의 이유가 됩니다.

 

[no carrier]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전송되는 동안 carrier가 제공되지 안된 수를 나타냅니다.
Common Causes(원인) 케이블 점검 및 장비의 인터페이스를 양쪽에서 점검.

​[Out-Discard]

Description(서술):에러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패킷 전송에 필요한 버퍼가 모자랄 경우 발생됩니다.

[output buffer failures output buffers swapped out]
Description(서술):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
Common Causes(원인) : 1기가 멀티캐스트 스티림을 100 Mbps로 이루이진 24 포트 장비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전송 시 일반적으로 나타나며 숫자들은 이것을 나타냅니다.

​[overrun]
Description(서술): 이 에러는 들어온 패킷을 receiver가 처리할 수 없을 시 나타납니다.
Common Cause(의미): 트래픽이 receiver의 처리용량을 초과 할 경우 발생

​[packets input/output]
Description(서술): 정상적인 패킷이 전송되고 받은 수를 나타냅니다. 이 숫자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트래픽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적절히 흐르는 지를 볼 때 유용한 하다고 하네요.

​[Rcv-Err]
Description(서술): CatOS show port or show port counters and Cisco IOS (for the Catalyst 6000 Series only) sh interfaces counters error
Common Causes(의미): See Platform Exceptions below.
Platform Exceptions: Catalyst 5000 Series

버퍼 실패가 나타나는 이유는 과잉된 트래픽의 결과로 증가할 수 있으며 Runt와 Giant 그리고 FCS-err과는 관계되지 않습니다.

On Catalyst 4000 Series 카탈리스트 5000과 비교하면 이 애러는 Runt, Giant 그리고 FCS-Err을 포함합니다.

​[Runts]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and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이 에러는 받은 프레임의 CRC가 좋지 않고 또한 IEEE 802.3프레임 사이즈 보다 작을 경우 발생합니다.
Common Causes(의미): 듀플렉스가 맞지 않거나 물리적인 문제입니다. 이를테면 케이블 불량 및 포트 또는 인터페이스카드의 불량에서 나타납니다.

Platform Exceptions: Catalyst 4000 Series running Cisco IOS
12.1 버전에서 런츠는 언더사이즈였으며 이것은 64 바이트보다 작을 때 나타냅니다. 그 후의 버전 12.1에서는 런츠는 Fragment입니다. Fragment가 64byte보다 작고 나쁜 CRC값을 가졌음을



[Single-Col]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이 에러는 프레임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기 전 발생된 충돌을 나타냅니다.
Common Causes(의미): 일반적으로 half 듀플렉스 모드에서 발생하며 풀 듀플렉스 모드에서는 볼 수가 없습니다. 만약 충돌 횟수가 눈에 확 띄게 증가할 경우에는 접속된 링크가 몹시 바쁘거나 아님 듀플렉스 모드에 이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underruns]
Description(서술) : 송신장치가, 스위치가 감당하지 못할 만큼 빠르게 동작할 경우 발생합니다.
Common Causes(의미) : 이 증상은 높은 전송률을 나타내는 구간에서, 한 순간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다수의 다른 인터페이스가 몰릴 경우 발생합니다. 언더런은 인터페이스 리셋을 가져옵니다.

​[Undersize]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것과는 달리 받은 프레임이 IEEE 802.3말하는 최소 64 바이트 보다 작을 때 발생(Framing bit는 포함되지 않고 FCS 옥택은 포함)
Common Causes(의미): 이 프레임이 보내진 장비 점검.

​[Xmit-Err]
Description(서술): CatOS sh port and Cisco IOS sh interfaces counters errors
버퍼가 가득 찼을 때 발생됨.
Common Causes(의미): 일반적으로 Xmit-Err은 높은 값을 갖는 밴드위드에서 작은 값을 갖는 밴드위드로 나갈 때 또는 하나의 출구에 다수의 트래픽이 몰릴 경우 발생합니다. 예를 들면, 만약 1기가 밴드위드로부터 다량의 데이터가 100 Mbps의 포트로 몰린다면 이것은 Xmit-Err의 수를 증가시킵니다. 들어오는 입구와 출구의 밴드위드가 다를 경우 많은 양의 데이터가 Output 버퍼를 압도할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참조링크

https://www.netbuysell.co.kr/global_asp/board/board_view.asp?K_no=3913&page=&Hit_Plus=9&Codeno=2&Pgtype=A&Html_change=

원인분석
관리되고 있는 장비는 C6500이다. C6500의 rcv-err 관련 내용은 아래 글을 읽어보자

https://supportforums.cisco.com/thread/186074



아래 링크는 시스코 인터페이스 관리에 대한 문서이다.
http://www.cisco.com/en/US/products/hw/switches/ps708/products_tech_note09186a00800a7af0.shtml



Rcv-Err 에러에 대한 원인은 아래와 같이 나와 있다.

This is an indication of excessive output rates of traffic. This is also an indication that the receive buffer is full. This counter must be zero unless there is excessive traffic through the switch. In some switches, the Out-Lost counter has a direct correlation to the Rcv-Err.

해석해 보면 수신버퍼의 가득 차서 생긴 에러라고 나온다.
시스코 버퍼관련 문서를 아래 링크를 참조 바란다.

http://www.cisco.com/en/US/products/hw/routers/ps133/products_tech_note09186a00800a7b80.shtml

버퍼확인

우리는 실제 시스코 장비를 최적화(튜닝)가 필요한지는 결정하기 위해 show interfaces와 show buffers 명령어로 이를 확인할 수 있다.


#sh buffers 
Buffer elements:
499 in free list (500 max allowed)
1193565061 hits, 0 misses, 0 created

Public buffer pools:
Small buffers, 104 bytes (total 1024, permanent 1024):
1018 in free list (128 min, 2048 max allowed)
719162597 hits, 0 misses, 0 trims, 0 created
0 failures (0 no memory)
Medium buffers, 256 bytes (total 3000, permanent 3000):
2970 in free list (64 min, 3000 max allowed)
15620707 hits, 0 misses, 0 trims, 0 created
0 failures (0 no memory)
Middle buffers, 600 bytes (total 512, permanent 512):
508 in free list (64 min, 1024 max allowed)
22609311 hits, 0 misses, 0 trims, 0 created
0 failures (0 no memory)

 

 

 

출처

https://blog.naver.com/seomanjae/2217587796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