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MTU (Maximum Transmission Unit 최대 전송 단위) 대해서 알아보자.
MTU(Maximum Transmission Unit)
- 데이터링크에서 하나의 프레임 또는 패킷에 담아 운반 가능한 최대 크기
- MTU란 TCP/IP 네트워크 등과 같은 패킷 또는 프레임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전송될 수 있는 최대 크기의 패킷 또는 프레임을 말한다.
-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량(Byte)인 MTU 값은 매체에 따라 달라진다.
- 예를 들어 Ethernet환경이라면 MTU 기본값은 1500, FDDI 인 경우 4000, X.25는 576, Gigabit MTU는 9000 정도 등 매체 특성에 따라 한 번에 전송량이 결정된다.
- 상위 계층(즉, 물리적, 데이터링크, 네트워크, 인터넷, 애플리케이션 중 네트워크 계층 이상 계층을 말함)의 데이터(헤더 포함된 전체 사이즈)의 수용 가능한 최대 크기로도 생각할 수 있다.
- 따라서, 상위 계층 프로토콜(네트워크 계층 이상)은 하위 계층인 데이터링크에서의 MTU에서 맞추어야 합니다. 그래서 IP 단편화 등을 시행할 수밖에 없다.
- 기본적인 MTU 1500을 초과하는 것은 "Jumbo Frame"이라고 불린다.
- Offical Maxtimun MTU 값은 65535이다.
2 계층 (Data-Link Layer) 네트워크에서 종류별 MTU 권고값
DIX Ethernet : 1500 bytes
802.3 Ethernet : 1492 byte
3 계층 (IP Layer)에서 MTU 권고값
IPv4에서 MTU 최소 권고값은 576byte이다.
(RFC 791에서 IP 패킷 구조상으로 볼 때는 68~65,535바이트 범위로써 가능하나, 수신 처리 가능한 MTU 최소값은 576바이트로 권고)
IPv6에서 MTU 최소 권고값은 1280 bytes이다.
MTU값 계산
- MTU는 Ethernet프레임을 제외한 IP datagram의 최대 크기를 의미한다.
- 즉, MTU가 1500이라고 할 때 IP Header의 크기 20byte 와 TCP Header의 크기 20byte를 제외하면 실제 사용자 data는 최대 1460까지 하나의 패킷으로 전송될 수 있다.
- Window 계열에서는 PC의 기본 MTU가 1500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레지스터리에 특정 값을 적어주지 않으면 자신의 MTU값을 1500으로 설정된다.
- 그러나 Win2000부터 Media의 특성을 인식하여 dynamic하게 MTU를 설정하게 된다.
운영체제별 MTU 확인
- 윈도우 : netsh interface ip show interface
- Linux : ifconfig
MSS(Maximum Segment Size)
- MSS는 Maximum Segment size의 약어로 TCP상에서의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데이터의 최대 크기이다.
- MSS값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MTU 값에 의해 결정된다.
- 예를들어 Ethernet일 경우 MTU 1500에 IP 헤더크기 20byte TCP 헤더 크기 20byte를 제외한 1460이 MSS 값이다.
MSS = MTU – IP Header의 크기(최소 20byte) – TCP Header의 크기(최소 20byte)
MSS의 선택
- TCP Header는 20byte 이상을 사용한다.
- IP Header 역시 20byte 이상이다.
- 따라서 Header로 최소 40byte를 써야 하는데 모두 데이터와 관련 없는 과부하이다.
- 만약MSS를 너무 작게 하면 대역폭을 비효율적으로 쓰게 된다.
- 예를 들어 MSS를 40byte로 한다면 데이터의 비율이 최대 50%밖에 안 된다.
- 나머지는 그냥 Header일 뿐이다.
- 많은 세그먼트 데이터 그램은 더 비효율적으로 송신될 것이다.
참고자료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roser111&logNo=221179205016 http://ktword.co.kr/test/view/view.php?nav=2&opt=&m_temp1=638&id=484
출처
반응형
'IT Technology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D-WAN(SDW)이란 무엇인가? (0) | 2022.03.10 |
---|---|
MPLS란? (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0) | 2022.02.23 |
IP/ARP 스푸핑(Spoofing)공격은 무엇이며 어떻게 실행되는지 알아보기 (0) | 2022.02.19 |
스푸핑 (Spoofing)공격 이란? (0) | 2022.02.18 |
Public IP, Private IP(공인IP, 사설IP) (0) | 2022.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