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쿠버네티스란 무엇인가? 대해서 쉽게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쉽게 이해되기 위해 맥도날드를 쿠버네티스에 비유해서 알아보겠다.
어느 한 동네에 맥도날드 체인점을 내야 한다고 가정을 해 보자.
강남역 주변에 맥도날드 매장 4개를 내야 하는데, 이때 각 매장 하나를 '컨테이너'라고 부른다.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의 묶음 단위를 컨테이너라고 생각하자 (원래 개념은 훨씬 어렵다)
아무리 강남역 주변이 넓다고 해도 물리적인 제약(서버 용량 등)이 있다.
만약 추가로 서비스를 더 확장을 하려면 다른 지역으로 이동을 해야 한다.
그래서 새롭게 찾은 지역인 서울역 주변에 다시 서비스를 확장하기로 결정하고 오픈을 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생기는 문제 기존에 강남역 1~4 매장 정도일 때는 관리상에 문제가 되지 않던 것이 8개로 늘어나니까 관리상의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원래 맥도날드는 항상 동일한 제품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데, 햄버거가 나오는 시간상의 문제(데이터 출력), 각 매장들의 품질 문제 등이 발생된 거다.
그래서 맥도날드 본사는 생각을 하기 시작하였다. 어떻게 해야 매장의 숫자가 무제한으로 늘어나도 동일한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할 수 있을까?
그래서 나타난 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쿠버네티스'의 개념이다.
쿠버네티스 개념을 활용하면 어떤 곳에 맥도날드 매장을 몇 개를 오픈하던, 구성과 운영을 쉽게 만들어 주는 것이다.
맥도날드의 쿠버네티스를 구성하는 조직은 다음과 같다.
즉 가장 쉽게 쿠버네티스를 표현해 보자면
언제 어디서든 빠르고, 유연하게 그리고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든 조직 구성 방법
출처:
https://blog.naver.com/ji_sung31/222233836761
참고:
'IT Technology > Kubernetes' 카테고리의 다른 글
Kubernetes 기본 개념 구성도 간략 정리 (0) | 2023.01.12 |
---|---|
쿠버네티스[K8S] 구성요소 노드&파드 (0) | 2023.01.11 |